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단독주택'→'고층아파트' 칩 설계로 기술한계 극복

송고시간2013-08-06 14:14

이 뉴스 공유하기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본문 글자 크기 조정

3D 메모리 시대 개막…"5년내 테라비트 낸드 상용화될 것"

삼성전자, 세계 최초 '3D 수직구조 낸드플래시' 양산
삼성전자, 세계 최초 '3D 수직구조 낸드플래시' 양산

(서울=연합뉴스) 삼성전자는 6일 세계 최초로 반도체 미세화 기술의 한계를 극복한 신개념의 '3차원 수직구조 낸드(3D V-NAND) 플래시 메모리' 양산에 들어갔다고 밝혔다.
이 제품은 삼성전자의 독자적인 '3차원 원통형 CTF(3D Charge Trap Flash) 셀 구조'와 '3차원 수직적층 공정' 기술이 적용돼 기존 20나노미터(nm·1nm = 10억분의 1m / 사람 머리카락 굵기의 5천분의 1)급 제품 대비 집적도가 2배 이상 높아졌다. 사진은 3차원 수직구조 낸드플래시 메모리(128Gb). 2013.8.6 << 삼성전자 제공 >>
photo@yna.co.kr

(서울=연합뉴스) 이웅 기자 = 삼성전자[005930]가 첫 양산을 시작한 '3차원 수직구조 낸드플래시'는 반도체 미세화 기술이 봉착한 한계를 혁신적인 칩 설계를 통해 극복할 수 있는 길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큰 것으로 평가된다.

지금까지 양산된 낸드플래시 메모리는 40여년 전 개발된 수평 구조(플로팅 게이트)의 칩 설계 기술에 기반을 두고 있다.

수평 구조에서 원가경쟁력을 좌우하는 칩의 집적도를 높이려면 수십억, 수백억 개의 데이터 저장소(셀)를 더 작게 만들고 배선을 더 얇게 할 수밖에 없다.

낸드플래시는 현재 회로 선폭이 사람 머리카락 굵기의 5천분의 1 크기인 20나노미터(nm·1nm = 10억분의 1m)급 제품이 주력이고, 집적도를 2배로 높인 10나노급 제품이 막 개발된 상태다.

영상 기사 삼성 차세대 낸드플래시 세계 최초 양산…3D 메모리 시대 개막
[앵커]
전원이 꺼져도 데이터가 그대로 저장되는 낸드플래시 메모리는 스마트폰의 핵심기술인데요.
삼성전자가 데이터 저장 용량을 대폭 높일 수 있는 차세대 낸드플래시 양산에 세계 최초로 성공하면서, 반도체시장의 흐름도 바뀔 것으로 보입니다.
김지선 기자입니다.
[기자]
첨단 반도체 미세공정 기술을 통해 매년 용량 밀도를 늘려온 낸드플래시 메모리 시장.
원가경쟁력를 좌우하는 칩의 집적도를 높이려면 메모리 저장소인 셀을 더 작게, 배선을 더 얇게 할 수밖에 없습니다.
그러나 머리카락 굵기의 1만2천분의 1수준인 10나노급으로 내려가면 셀 사이 간격이 좁아져 간섭현상이 심해지는 한계가 지적됐습니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나온 것이 메모리칩을 수직으로 쌓아올리는 '3D 낸드플래시'입니다.
여러 채의 단층 단독주택을 작고 촘촘하게 만드는 것이 아니라 고도 제한이 없는 고층의 아파트를 짓는 것과 같은 원리입니다.
세계 메모리 업체들이 앞다퉈 3D 낸드플래시 개발 경쟁에 뛰어든 가운데 삼성전자가 가장 먼저 양산에 들어갔습니다.
도체를 이용하는 기존 낸드플래시와는 달리 안정적인 부도체에 전하를 저장해 위아래 간섭현상을 줄였습니다.
가운데가 뚫린 원통형셀을 24층으로 쌓은 다음 구멍을 통해 전자가 이동하면서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식입니다.
무엇보다 대용량 낸드플래시 상용화가 앞당겨질 것으로 보입니다.
<최정혁 전무 / 삼성전자 메모리사업부> "속도와 용량은 2배, 제품 수명은 최대 10배까지 향상시킬 수 있었습니다."
향후 1테라비트 이상의 고용량 제품을 시장의 요구에 맞춰서 적기에 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업계에서는 2년 안에 3D 낸드플래시가 시장의 대세로 자리잡을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서원석 / 한국투자증권 연구원> "타업체들과의 차별성이 더욱더 커질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하이닉스, 도시바 같은 몇몇 경쟁업체들도 나름대로는 3D 낸드플래시를 준비하고 있지만 실제 양산시점은 삼성전자보다 상당히 뒤질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SK하이닉스는 연내 3D 낸드플래시메모리를 내놓는다는 계획입니다.
도시바 역시 샌디스크와 손잡고 차세대 낸드플래시 개발을 서두를 것으로 보입니다.
뉴스Y 김지선입니다.

삼성 차세대 낸드플래시 세계 최초 양산…3D 메모리 시대 개막 [앵커] 전원이 꺼져도 데이터가 그대로 저장되는 낸드플래시 메모리는 스마트폰의 핵심기술인데요. 삼성전자가 데이터 저장 용량을 대폭 높일 수 있는 차세대 낸드플래시 양산에 세계 최초로 성공하면서, 반도체시장의 흐름도 바뀔 것으로 보입니다. 김지선 기자입니다. [기자] 첨단 반도체 미세공정 기술을 통해 매년 용량 밀도를 늘려온 낸드플래시 메모리 시장. 원가경쟁력를 좌우하는 칩의 집적도를 높이려면 메모리 저장소인 셀을 더 작게, 배선을 더 얇게 할 수밖에 없습니다. 그러나 머리카락 굵기의 1만2천분의 1수준인 10나노급으로 내려가면 셀 사이 간격이 좁아져 간섭현상이 심해지는 한계가 지적됐습니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나온 것이 메모리칩을 수직으로 쌓아올리는 '3D 낸드플래시'입니다. 여러 채의 단층 단독주택을 작고 촘촘하게 만드는 것이 아니라 고도 제한이 없는 고층의 아파트를 짓는 것과 같은 원리입니다. 세계 메모리 업체들이 앞다퉈 3D 낸드플래시 개발 경쟁에 뛰어든 가운데 삼성전자가 가장 먼저 양산에 들어갔습니다. 도체를 이용하는 기존 낸드플래시와는 달리 안정적인 부도체에 전하를 저장해 위아래 간섭현상을 줄였습니다. 가운데가 뚫린 원통형셀을 24층으로 쌓은 다음 구멍을 통해 전자가 이동하면서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식입니다. 무엇보다 대용량 낸드플래시 상용화가 앞당겨질 것으로 보입니다. <최정혁 전무 / 삼성전자 메모리사업부> "속도와 용량은 2배, 제품 수명은 최대 10배까지 향상시킬 수 있었습니다." 향후 1테라비트 이상의 고용량 제품을 시장의 요구에 맞춰서 적기에 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업계에서는 2년 안에 3D 낸드플래시가 시장의 대세로 자리잡을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서원석 / 한국투자증권 연구원> "타업체들과의 차별성이 더욱더 커질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하이닉스, 도시바 같은 몇몇 경쟁업체들도 나름대로는 3D 낸드플래시를 준비하고 있지만 실제 양산시점은 삼성전자보다 상당히 뒤질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SK하이닉스는 연내 3D 낸드플래시메모리를 내놓는다는 계획입니다. 도시바 역시 샌디스크와 손잡고 차세대 낸드플래시 개발을 서두를 것으로 보입니다. 뉴스Y 김지선입니다.

하지만 배선 간격이 너무 좁아지자 셀 사이에 간섭 현상이 생기면서 미세화 기술은 한계에 부딪힌 상태다.

이런 상황에서 삼성전자는 칩 설계를 수평에서 수직 구조(3D V-낸드)로 바꾸는 발상의 전환을 통해 기술적 한계를 피할 길을 찾았다.

쉽게 표현하면 더 많은 사람(데이터)을 수용하기 위해 여러 채의 단층 단독주택을 더 작게 촘촘히 짓던 것을, 고도 제한이 없는 고층의 아파트로 대체한 것과 같다.

삼성전자가 이번에 내놓은 제품은 24층 아파트에 해당하는 24단 적층구조로 집적도는 10나노급 제품과 맞먹는다.

이 같은 수직 구조의 제품을 양산하는 데는 얇은 회로기판을 먼저 쌓고 위에서 아래로 수십억 개의 미세한 구멍(채널홀)을 뚫어 전극을 연결하는 에칭(식각) 기술이 핵심이라는 게 삼성전자의 설명이다.

이는 200미터 높이의 빌딩 옥상에서 지상까지 직경 5m짜리 구멍 수십억 개를 뚫는 것에 비유할 수 있다.

삼성전자는 공정 기술만 뒷받침된다면 회로기판을 필요한 만큼 쌓아올릴 수 있기 때문에 집적도를 높이는 데 사실상 한계가 없다고 밝혔다.

<그래픽> 삼성전자, 세계 최초 '3D 수직구조 낸드플래시' 양산
<그래픽> 삼성전자, 세계 최초 '3D 수직구조 낸드플래시' 양산


(서울=연합뉴스) 박영석 기자 = 삼성전자[005930]가 6일 세계 최초로 반도체 미세화 기술의 한계를 극복한 신개념의 '3차원 수직구조 낸드(3D V-NAND) 플래시 메모리' 양산에 들어갔다고 밝혔다.
zeroground@yna.co.kr
@yonhap_graphics(트위터)

특히 종전 방식은 미세 공정을 업그레이드할 때마다 매번 막대한 설비투자 비용이 들어가는 반면 새로운 방식은 적층 기술만 개발하면 기존 생산장비를 거의 그대로 사용하면서도 집적도를 높일 수 있어 비용 면에서 훨씬 효율적이다.

이 같은 수직 구조 칩 설계와 공정이 정착되면서 메모리 반도체 생산기술은 대전환을 맞을 것으로 기대된다.

무엇보다 미세화 기술의 한계 때문에 지체됐던 대용량화가 빠르게 진행되면서 대용량 낸드플래시의 상용화가 앞당겨질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삼성전자 메모리사업부 플래시개발실장 최정혁 전무는 "V-낸드(수직구조 낸드플래시)는 적층기술 개발에 따라 계속 발전 가능하다"며 "1테라비트(Tb) 낸드플래시가 상용화되는 데는 5년 정도 걸릴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1Tb는 삼성전자가 양산하는 업계 최대 128Gb(기가비트) 낸드플래시의 8배에 해당하는 용량이다.

abullapia@yna.co.kr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