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연합뉴스 최신기사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백령도·파주 추락 무인항공기…北 무인기 가능성(종합)

송고시간2014-04-01 17:30

이 뉴스 공유하기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본문 글자 크기 조정

모양·색깔·성능에서 동호인 무인기와는 달라

<백령도·파주 추락 무인항공기…北 무인기 가능성>(종합) - 1

(서울=연합뉴스) 김호준 기자 = 지난달 24일 파주에 이어 북한의 서해 북방한계선(NLL) 해상사격이 있었던 31일 백령도에서도 정체가 확인되지 않은 무인항공기가 추락해 주목된다.

군과 정보당국은 북한의 무인정찰기일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정밀 감식 작업을 벌이고 있다.

경기도 파주시 봉일천 야산에서 소형 카메라를 장착한 무인항공기가 추락했을 때만 해도 관계당국은 무인기 동호인이 취미로 날렸을 가능성에 무게를 뒀다.

백령도·파주 추락 무인항공기…北 무인기 가능성
백령도·파주 추락 무인항공기…北 무인기 가능성

(서울=연합뉴스) 지난달 24일 파주에 이어 북한의 서해 북방한계선(NLL) 해상사격이 있었던 31일 백령도에서도 정체가 확인되지 않은 무인항공기가 추락해 주목된다. 사진 왼쪽이 백령도에서 발견된 무인항공기, 오른쪽이 지난달 파주에서 발견된 무인기.

군용으로 보기에는 카메라에 찍힌 사진의 화질이 크게 떨어졌기 때문이다.

그러나 추락한 무인항공기가 삼각형 모양으로 마치 군의 스텔스기 형태를 본떴고, 하늘색에 흰색 구름무늬를 덧씌워 위장하려고 했다는 점에서 동호인의 무인기와는 다른 것으로 평가됐다.

또 촬영 사진에 청와대 등이 포함됐다는 점에서 군 당국은 대공 용의점을 완전히 배제하지는 않았다.

게다가 분석결과 해당 무인항공기는 성능 면에서도 동호인의 무인기와는 다른 특별한 점도 있었다.

<백령도·파주 추락 무인항공기…北 무인기 가능성>(종합) - 2

비행컨트롤러가 장착돼 착륙지점의 좌표만 입력하면 스스로 비행한 뒤 돌아오는 기능이 있었고, 동력으로 엔진을 사용한 점도 배터리를 연료로 쓰는 동호인들이 주로 사용하는 무인기와 차이가 있었다.

또 기체에 바퀴가 없고 낙하산이 장착됐던 것으로 알려졌다. 발사대에서 대각선으로 이륙해 정해진 지점에 낙하산을 펼쳐 착륙하는 이런 형태의 무인기는 주로 군 정찰용으로 쓰이는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북한군이 발사한 포탄이 NLL 이남 해상에 떨어진 날 오후 백령도에서도 파주에서 추락한 무인기와 유사한 무인기가 추락해 대공용의점은 더욱 커졌다.

북한군의 NLL 이남 사격과 우리 군의 대응사격은 모두 백령도 동북방 해상에서 이뤄졌다.

지난달 24일 파주에 추락한 무인항공기. (국방부 제공)

지난달 24일 파주에 추락한 무인항공기. (국방부 제공)

따라서 북측이 해상사격을 하면서 우리 군의 동향을 감시하기 위해 무인정찰기를 띄웠을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북한은 지난 2010년 8월9일 서해 NLL로 해안포 110여 발을 발사한 뒤 저녁 무렵 무인항공기를 띄워 백령도와 연평도 인근을 정찰한 적이 있다.

특히 군사시설이 밀집한 백령도에서 무인항공기를 띄우려면 군 당국의 승인이 필요한데 이번에 추락한 무인항공기는 승인도 받지 않았다.

이 무인기의 길이는 파주에서 발견된 것과 비슷한 1.5∼2m 정도이고 역시 소형 카메라가 달려 있었다. 기체는 원통형이었지만 하늘색 바탕에 구름 모양의 흰색을 덧칠한 것은 유사했다.

백령도에 추락한 무인항공기. (국방부 제공)

백령도에 추락한 무인항공기. (국방부 제공)

정부의 한 소식통은 1일 "정밀 분석 중이기 때문에 어느 나라에서 제작됐다고 단정할 수 없지만 북한 것일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번에 추락한 무인항공기가 북한의 무인기로 확인될 경우 좀 더 확실한 대응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북한은 중국의 무인비행기(D-4)를 도입, 자체 개조해 만든 무인항공기 '방현-Ⅰ·Ⅱ'를 최전방 부대에 배치한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길이 3.23m인 방현 무인항공기는 고도 3㎞, 최대 시속 162㎞로 비행할 수 있고 작전반경이 4㎞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유사시 20∼25㎏의 폭약도 장착할 수 있으며 휘발유 엔진으로 낙하산을 펼쳐 지상에 착륙하도록 개발됐다.

북한은 저공으로 비행하는 항공기와 순항미사일을 공격하는 '무인타격기'를 개발, 실전 배치하기도 했다.

북한은 2010∼2011년 시리아로 추정되는 중동 국가에서 미국산 고속표적기인 '스트리커'(MQM-107D) 여러 대를 도입, 무인타격기로 개조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군의 한 관계자는 "북한의 무인기는 레이더로 포착하기 어렵지만 육안으로 식별되면 발칸포 등의 대공화기로 격추할 수 있다"고 밝혔다.

hojun@yna.co.kr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