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연합뉴스 최신기사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野 "오! 인천·경기"…충청석권 불구 빛바랜 선전(종합)

송고시간2014-06-05 07:31

이 뉴스 공유하기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본문 글자 크기 조정

'세월호 심판론' 극대화 실패…총선·대선 교두보 확보로 위안김·안 리더십 회복 계기점…7월 재보선 또한번의 시험대

(서울=연합뉴스) 송수경 기자 = 새정치민주연합은 '세월호 참사' 속에 치러진 6·4 지방선거에서 외형적으로는 '선전'했으나 '어게인 2010'에 준하는 '승리'라고 하기에는 개운치 않은 뒷맛을 남겼다.

17곳의 광역단체장 선거에서 서울·광주·대전·세종·강원·충북·충남·전북·전남 등 9곳에서 승리, 기존의 여야간 9대8구도 대비 1곳을 늘리며 지방권력의 과반을 차지했다.

특히 충청권 4곳에서 이례적으로 전승 행진을 이어가며 '중원'에서 교두보를 확실히 구축하고 현역 의원이 전무한 강원도 새벽까지 가는 피말리는 초박빙 접전 끝에 힘겹게 지켜냈다. 무소속의 위협을 받던 텃밭 광주도 수성(守城)에 성공했다.

하지만 민심의 바로미터격인 수도권 3곳 가운데 인천시장 자리를 내주고 서울 1곳만 사수한 것은 뼈아픈 대목이다.

세월호 참사 이후 조성된 여권에 대한 민심이반 흐름에도 불구, 정작 '세월호 심판론'을 충분히 담아내지 못한 채 대안세력으로 인정받는데 역부족이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당내에서 "불완전한 승리", "지고도 이긴 선거"라는 말이 나오는 것도 이 때문이다.

새정치연합은 '전체 성적표'로 볼 때 2016년 총선에서의 승리, 2017년 정권 교체로 이어지는 수권정당 목표에 한걸음 다가섰다고 자평하고 있지만, 수도권에 '구멍'이 생기면서 향후 항로가 순탄하리라고 장담하기 어렵게 됐다.

이번 선거를 진두지휘한 김한길·안철수 공동대표는 충청권 싹쓸이와 강원·광주에서의 승리로 리더십 위기라는 고비를 넘기며 일단 숨통을 트게 됐다.

특히 안 대표는 자신에 대한 신임투표 성격으로 치러진 광주시장 선거에서 측근인 윤장현 당선인이 압승, '체면치레'를 하며 직접적인 책임론은 비켜가게 됐다.

이에따라 김·안 지도부는 정부의 '무능·무책임'을 내걸고 정국 주도권 확보를 시도하며 7·30 재보선 승리에 올인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수도권에서 저조한 성적표를 올린 것을 놓고 계파간 설왕설래가 이어지면서 선거 승패를 둘러싼 내홍이 불거지는 등 후유증을 겪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어 보인다.

지난 3월초 전격적인 통합 선언 이후 기초선거 무(無)공천 번복, 지방선거 공천잡음 등으로 바람잘 날 없었던 김·안 대표로선 당내 리더십을 말끔하게 회복하기엔 '2% 부족한' 결과를 받아든 셈이기 때문이다.

그동안 신주류에 밀렸던 친노(친노무현)·구주류는 이러한 틈새를 파고 들며 목소리를 키워갈 공산이 적지 않아 보인다.

친노 진영의 좌장인 문재인 의원은 자신이 측면지원한 무소속 오거돈 후보가 부산에서 석패해 아쉬움을 남겼지만, 세월호 정국에서 현 정부 심판론의 깃발을 들고 각을 세웠던 연장선에서 대여 선명성으로 김·안 대표와 차별화를 꾀하며 정치적 입지확대를 모색하지 않겠느냐는 분석이 나온다.

통합 이후 김·안 대표와 '불편한 관계'를 이어온 손학규 상임고문은 선거전 막판 광주 선거와 관련, "누가 돼도 우리 식구"라고 윤 당선인 지원에 거리를 두면서 흠결이 간 측면이 없지 않아 보인다. 또한 경기지사 출신으로, 경기지사 선거 지원에 집중했지만 승리를 이끌지는 못했다.

그러나 7·30 재보선에서 수원지역 출마를 통해 재기에 나설 가능성이 당 안팎에서 거론되고 있다.

정동영 상임고문과 김두관 전 경남지사도 이번 재보선을 복귀의 모멘텀으로 삼으려 한다는 얘기가 돌고 있다.

이에따라 결국 당분간 계파간 힘의 긴장관계가 어느 정도 유지되다 7·30 재보선에서 역학구도가 다시 한번 출렁이게 될 전망이다.

특히 재보선 결과에 앞서 공천 과정에서부터 계파간 갈등과 합종연횡이 이뤄지면서 권력지형도에 큰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더욱이 재보선 결과 김·안 대표가 이번 지방선거에서의 '수도권 실점'을 만회해 의미있는 성적을 거둔다면 내년 3월까지 임기를 보장받으며 당내 장악력을 한층 강화, 차기 당권경쟁에서도 유리한 위치를 점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반대의 경우에는 조기 전대 개최 요구 등 두 대표 책임론이 제기되며 만만치 않은 후폭풍에 휩싸일 수 있다는 관측도 제기되고 있다.

hanksong@yna.co.kr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