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연합뉴스 최신기사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미·일 패권주의에 맞선 오키나와의 70년 역사

송고시간2014-07-21 13:09

이 뉴스 공유하기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본문 글자 크기 조정

개번 매코맥·노리마쓰 사토코 '저항하는 섬, 오끼나와'

(서울=연합뉴스) 임기창 기자 = 일본 자위대 창설 60주년인 지난 1일, 일본 정부는 '집단자위권을 행사할 수 있다'는 새로운 헌법 해석을 내놨다.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는 "전쟁하는 나라가 되지 않을 것"이라고 선을 그었지만, 2차대전 종전 이후 70년 만에 일본의 '전쟁국가화'를 보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런 가운데 일본 평화운동의 구심점으로 꼽히는 오키나와(沖繩)에서 집단자위권 행사에 격렬히 반발한다는 소식이 외신 등을 통해 전해진다. 독립된 해상왕국에서 일본 본토의 지배를 받는 처지가 되고, 2차대전을 거치면서 엄청난 희생을 겪은 오키나와는 이후 패권주의에 맞선 동아시아 평화운동의 상징적 존재로 자리잡았다.

'저항하는 섬, 오끼나와'(창비)는 동아시아 근현대사 전문가 개번 매코맥과 일본 평화운동가 노리마쓰 사토코(乘松聰子)가 미일 군사동맹에 맞선 오키나와의 저항운동 70년사를 정리한 저작이다. 2012년 출간된 책의 번역서이긴 하나 최근 일본의 움직임이 '평화국가'에 역행하는 모습이라는 점에서 일독할 만하다.

오키나와의 역사는 참으로 기구하다고밖에 표현할 방법이 없다. 류큐(琉球) 왕국이라는 독립 해상국가로서 번영하던 15세기를 지나 17세기 초 일본 본토의 지배를 받고, 19세기 후반에는 폐번치현(廢藩置縣)으로 아예 근대 일본국가에 병합되면서 지역의 고유한 언어와 문화를 버릴 것을 강요받는다.

2차대전 당시에는 지역 인구의 3분의 1인 12만명이 사망했을 만큼 격전지이기도 했다. 미군뿐 아니라 자국군인 일본군마저 오키나와인을 신뢰하지 않고 강제 이주시키거나 살해했다. 군사기밀 유출을 막는다는 명목 아래 주민들에게 옥쇄를 강요한 '강제 집단사'는 오키나와인들의 기억에 깊이 새겨진 전쟁의 상처가 됐다.

전쟁이 끝나자 일본 군국주의의 자리를 채운 것은 미군이었다. 오키나와는 종전 이후 1972년까지 미군의 직접적인 군사 지배를 받았다. 일본에는 본토의 미군기지 부담을 떠넘기는 군사적 거점이었고, 미국에는 베트남 전쟁을 추진하고 세계대전 재발에 대비하는 기지가 오키나와의 정체성이었다.

오키나와의 면적은 일본 전 국토의 0.6%에 불과하지만 주일미군 기지의 75%가 이 지역에 분포해 있다. 기지가 야기한 환경파괴, 미군들이 주민을 상대로 자행한 성폭력 등 각종 범죄도 오키나와를 고통받게 하는 요인들이다. 후텐마(普天間) 비행장 이전 등 미군기지 문제를 둘러싼 갈등은 여전히 해결 난망으로 보인다.

일본에 점령당하고 2차대전에서 막대한 희생을 치렀으며, 전후 미국이 수립한 동아시아 전략의 영향을 받아야 했다는 점에서 오키나와는 한반도와 비슷한 역사를 겪은 곳이다. 저자들은 "한국과 오키나와는 민주적이며 협력적인 전후 및 패권 이후의 질서가 이 지역 전체에 뿌리를 내리고 자라나갈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을 보여준다"며 두 지역 간 연대의 미래를 희망적으로 내다본다.

정영신 옮김. 544쪽. 2만8천원.

<미·일 패권주의에 맞선 오키나와의 70년 역사> - 2

pulse@yna.co.kr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