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광화문 시복식을 통해 본 순교정신 '용기와 화해'

송고시간2014-08-16 07:11

이 뉴스 공유하기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본문 글자 크기 조정

시복시성주교특별위 총무 류한영 신부 "시복은 오해받은 역사 바로잡기"

순교자 124위 시복식 리허설
순교자 124위 시복식 리허설

(서울=연합뉴스) 한종찬 기자 = 순교자 124위 시복식을 하루 앞둔 15일 오후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순교자 124위 시복식 리허설이 진행되고 있다.

(서울=연합뉴스) 공병설 기자 = "시복은 정치범으로 몰려 처형된 무고한 순교자들의 숭고한 행위가 헛되지 않고 영원한 생명으로 이어졌음을 선포하고 오해받은 역사를 바로잡는 겁니다. 순교자들이 박해자를 증오하지 않고 기꺼이 죽음을 맞은 정신을 살려 유교와 천주교가 화해한다는 의미도 있습니다."

한국천주교 주교회의 시복시성주교특별위원회 총무 류한영(57) 신부는 16일 서울 광화문에서 열리는 천주교 순교자 124위 시복식의 의미를 이렇게 설명했다.

류 신부는 2000년 시복 청원인에 임명돼 줄곧 실무 총책임자로 일해 왔다.

그는 최근 연합뉴스와 한 인터뷰에서 "순교자들은 박해자들을 미워하지 않고 용서했다. 오히려 박해를 고통스런 죽음이 아니라 신앙의 완성 단계로 보내준다고 생각했기에 일말의 증오심도 없었다"고 말했다.

신자들 누구나 공경하고 신앙의 본보기인 복자로 추대하는 시복은 복잡하고 어려운 작업이다. 처음 시작부터 보통 20년이 걸린다. 지역교회 준비 작업이 10년, 교황청 심사가 10년이다.

124위의 경우 일이 일사천리로 진행돼 기간이 크게 단축됐다. 교황청 시성성 심사가 5년 만에 끝났다. 성덕 심사와 기적 심사를 거치는데 순교자는 죽음 자체를 기적으로 봐서 기적 심사를 생략한다.

한국천주교 주교회의 시복시성주교특별위원회 총무 류한영 신부 (연합뉴스 자료사진)

한국천주교 주교회의 시복시성주교특별위원회 총무 류한영 신부 (연합뉴스 자료사진)

이날 124위의 대표 순교자는 전라도의 유명한 양반 가문 출신인 윤지충(1759∼1791)이다. 유교식 제사를 거부했다가 한국천주교에서 최초로 참수형을 당했다. 그는 "육신의 부모보다 더 높은 부모, 임금보더 더 높은 임금인 하느님을 섬기기 때문에 그의 명을 거절할 수 없다"고 했다. 천주교에서 말하는 '대군대부'(大君大父)다.

류 신부는 "당시에는 제사 문제로 논쟁이 붙었다. 실학사상의 배경이 된 유교 제사의 조상신 숭배, 허례허식 논란이었다. 천주교 신자들은 살아 계실 때 잘하는 게 도리이지 돌아가시고서 아무리 성대하게 한들 무슨 의미가 있느냐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다산 정약용의 형이자 '한국천주교 평신도 교부'로 불리는 정약종, 천민 출신으로 천주교의 평등사상을 지상의 유토피아로 여겼던 황일광, 수도자 생활을 꿈꾸며 세계적으로도 드문 동정부부였던 유중철·이순이도 대표적 순교자로 꼽힌다.

최초로 한국에 파견된 가톨릭 선교사인 중국인 주문모 신부와 그의 뒷바라지를 하면서 왕족들에까지 복음을 전했던 강완숙도 함께 시복된다.

한국천주교의 순교자는 1만여 명으로 추산된다.

이들 가운데 최초의 한국인 사제 김대건 신부 등 103위가 1984년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에 의해 성인으로 시성됐다. 이벽 등 133위와 홍용호 등 81위, 한국인 2호 사제 최양업 신부의 시복 작업도 진행 중이다.

시복식 장소를 서울 도심에서도 한복판인 광화문으로 정한 것을 두고 논란이 있었다.

순교자 124위 시복식 리허설
순교자 124위 시복식 리허설

(서울=연합뉴스) 한종찬 기자 = 순교자 124위 시복식을 하루 앞둔 15일 오후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순교자 124위 시복식 리허설이 진행되고 있다.

장소 논란의 쟁점은 천주교가 과연 한국 종교와 사회 전체를 대표할 자격이 있는가, 소박하고 검소한 교황의 뜻을 존중했는가, 경호와 안전 문제, 행사와 상관없는 시민들의 불편을 감안했는가 하는 점이다. 한마디로 보여주기 행사 아니냐는 거다.

교회 안에서도 적지 않은 논란이 있었다. 장소 결정에만 석 달이 걸렸다고 류 신부는 전했다.

"광화문으로 결정한 건 역사적 상징성 때문이었습니다. 순교자들의 피와 땀, 눈물이 배어 있는 형조와 우포도청, 의금부 터 등이 근처에 있고 서소문 순교성지도 가깝습니다. 광화문은 바티칸의 시복식 장소인 베드로대성당 앞 '화해의 거리'와 구조가 비슷하다는 의미도 있고요."

류 신부는 "잠실체육관 같은 곳도 검토했지만 교황이 집전하시는데 좀 그렇지 않느냐 하는 목소리도 솔직히 있었다"며 "한국을 세계에 알리는 좋은 기회도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여러 논란과 어려움에도 광화문 시복식이 성사된 데는 자신의 안전에 신경 쓰기보다는 가급적 많은 사람과 함께 하려는 교황의 스타일도 작용했다고 한다.

오늘날 순교라는 단어는 피부에 잘 와 닿지 않는다. 종교의 자유가 헌법에 규정된 한국에서는 더욱 그렇다. 류 신부의 말이다.

"순교는 올바른 일과 남을 위해 자신의 모든 걸 내주는 일입니다. 순교자는 자기를 죽인 사람조차 증오하지 않고 용서했습니다. 죽음 앞에서 두려워하거나 비굴해지지 않는 용기를 갖는 것, 이해관계와 사상의 차이를 초월해 화해의 정신을 회복하는 게 순교가 주는 가르침 아닐까요?"

프란치스코 교황이 지난 14일 청와대 연설에서 "정의는 과거의 불의를 잊지는 않되 용서와 관용, 협력을 통해 불의를 극복하라고 요구한다"는 말을 떠올리게 한다.

kong@yna.co.kr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