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연합뉴스 최신기사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문이과 통합 교육과정서 수능은 어떻게 바뀌나

송고시간2014-09-24 10:30

이 뉴스 공유하기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본문 글자 크기 조정

'통합과목 수능 출제+선택과목은 학생부로 반영' 최선안대학 문·이과 변별 수용해 선택과목 수능에 포함될 수도

(세종=연합뉴스) 구정모 기자 = 교육부가 24일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 개정안의 큰 그림을 발표했지만 이와 연계된 대학수학능력시험의 개편 청사진은 내놓지 않아 대입제도가 교육과정 개정으로 어떻게 변할지 관심이 쏠린다.

고등학교 교육이 대입 제도에 종속되다시피한 현실에서 수능 체제가 어떤 방향으로 개편되느냐에 따라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의 취지가 살거나 죽을 수 있기 때문이다.

교육부는 현재 초등학교 6학년이 응시하는 2021학년도 수능부터 바뀐 교육과정이 적용되고 자세한 내용은 정책연구를 통해 2017년 하반기에 발표하겠다는 입장이다.

교육부가 이날 밝힌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 총론'의 주요 사항과 연구진인 국가교육과정 개정연구위원회가 그동안 내놓은 발표문들을 보면 새 수능체제를 예견할 수 있는 단서를 찾을 수 있다.

하지만 수능의 절대평가 방식으로 전환, 고교 성취평가제 적용, 대학의 대학별 고사 확대 등의 변수가 많아 실제 수능 체제를 확정하기까지 많은 논란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최선안은 공통과목으로만 수능 출제 =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이 반영되는 새 수능 체제로 국어, 수학, 영어, 사회탐구, 과학탐구 등 5개 영역을 문·이과 구분 없이 공통과목을 중심으로 모든 수험생이 공통으로 보는 안을 생각해 볼 수 있다.

교육부가 이날 발표한 내용에는 빠져 있지만 개정위원회가 지난 12일 공청회에서 공개한 연구안에는 '공통과목을 수능 시험범위로 활용할 수 있다'는 언급이 포함돼 있다.

공통과목을 출제과목으로 하는 공통수능안은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의 취지를 가장 잘 구현한다는 장점이 있다.

사교육걱정없는 세상은 "통합형 교육과정에 따른 수능 개편안은 교육과정 취지에 맞게 5개 교과의 공통과목과 필수과목인 한국사를 포함한 6개 과목으로 한정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이는 지난해 교육부가 발표한 수능체제 개선안 중 중요하게 고려됐던 '문·이과 완전 융합안'과 일치한다.

문·이과 완전 융합안은 문·이과 구분 없이 모든 학생이 공통적으로 학습하는 내용을 평가하는 방식으로, 사탐과 과탐은 '공통사회', '융합과학' 과목을 출제 대상으로 삼았다.

공통과목 출제 공통수능안은 교육계 일부에서 주장하는 수능의 절대평가로 전환과 '궁합'이 잘 맞는다.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의 목적이 고등학생이라면 누구나 어느 정도의 인문·사회·과학 소양을 갖춰야 한다는 것이므로 절대적인 성취도 수준을 측정하는 절대평가와 궤를 같이 한다.

교육부는 현재 2017학년도 수능부터 한국사에 절대평가 방식을 도입하고 2018학년도부터는 영어 영역을 절대평가로 바꾸는 것을 검토하고 있기도 하다.

공통과목 출제 공통수능안은 선택과목이 수능에서 제외됨에 따라 일선 학교에서의 수업이 공통과목 중심으로 파행적으로 운영될 수 있고 대학이 요구하는 수준이 문·이과가 다르다는 현실과 어긋난다는 단점이 있다.

하지만 이는 대입에서 선택과목 부분을 학교생활기록부 성적으로 반영하는 방법으로 해결할 수 있다.

문제는 대학이 고교의 학생부 성적을 얼마나 신뢰할 수 있느냐다.

올해 고 1부터 적용되는 학생부 성취평가제는 2019학년도 이후 대입에 반영할지 여부가 내년에 결정된다.

성취평가제는 학생들을 석차로 '줄세우기'하는 것이 아니라 성취도를 절대평가해 A,B,C,D,E 등급을 매기는 제도다. 대부분 선진국이 운영하는 제도이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일선 학교에서의 '성적 부풀리기'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대학이 성취평가제 방식의 학생부 성적에 '거품'이 껴 있다고 보고 우수 학생을 변별하기 위해 자체적인 대학별 고사를 강화한다면 학생들의 시험 부담은 현재보다 더 가중될 수도 있다.

◇ 선택과목 어느 영역에서 얼마나 포함될까 = 문·이과 계열을 구분하고 싶어하는 대학의 요구를 수능에 반영하기 위해서라도 선택과목이 수능 출제 대상에 포함될 수 있다.

교육부는 이날 일반선택 과목을 설명하면서 "선택 수능에 해당하는 교과의 경우 수능 대상 과목으로 권장한다"고 언급, 이 같은 가능성을 열어 두기도 했다.

연구위원회가 그동안 발표한 자료를 바탕으로 예상 가능한 방안은 5개 영역을 공통수능으로 보면서 수학, 사회, 과학 등 일부 영역에서 선택과목을 포함하는 안과 국·수·영 등 3개 영역은 공통수능으로, 사탐·과탐은 선택수능을 보는 안 등 두 가지다.

전자인 '5개 영역 공통수능+일부 영역 선택과목'안은 수학, 사탐, 과탐의 시험과목이 문·이과 간 달라져 문·이과 칸막이를 없앤다는 교육과정 개정의 취지를 살리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나머지 '3개 영역 공통수능+2개 영역 선택수능'안은 문·이과 통합의 정신과 대학의 현실적인 요구를 절충한 안이지만, 수학 영역에서의 문·이과 구분 요구를 반영하지 못하는 문제는 여전하다.

선택의 주체가 대학이 되는 제3의 방안도 있다. 공통과목은 수능 필수 과목으로 하되 나머지 일반선택 과목은 대학이 자율적으로 정하도록 하는 방안이다.

예컨대 모 대학의 국문과는 수능에서 '문학' 과목의 성적을, 물리학과는 '미적분'과 '물리학Ⅰ' 과목의 성적을 요구한다면, 이 대학의 국문과 진학을 희망하는 수험생은 공통과목에 더해 '문학' 과목의 시험을 치르고, 물리학과에 가고 싶은 수험생은 공통과목과 '미적분'과 '물리학Ⅰ'에 응시하는 방식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수능 개편 방식을 논의하다 보면 교육과정 개정 논의가 뒷전으로 몰릴 수 있어 교육과정 개정 작업을 마무리하고 나서 수능체제를 어떻게 바꿀지 논의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말했다.

pseudojm@yna.co.kr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