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홍콩 정부, 중국 관련 용어 통일 지시

송고 2015년02월18일 14시15분

'중국·홍콩관계'→'본토·홍콩관계'…"홍콩 지위 격하 의도"

'일국양제'(一國兩制) 빈말이었나…
'일국양제'(一國兩制) 빈말이었나…

홍콩서 우산혁명 이후 최대 거리 행진
(홍콩=연합뉴스) 최현석 특파원 = 시민운동단체 민간인권진선은 1일 오후 시민 수천명을 이끌고 홍콩섬 코즈웨이베이 빅토리아 공원을 출발, 센트럴까지 행진하며 '정치적 제한 없는 행정장관(행정수반) 직선제' 실시를 요구했다. 이날 시위는 작년 12월 15일 끝난 79일간의 도심 점거 시위 이후 최대 규모로 기록됐다. 2015.2.1 <<국제뉴스부 기사 참조>>
harrison@yna.co.kr

(홍콩=연합뉴스) 최현석 특파원 = 홍콩 정부가 17일 중국과 관련된 용어를 통일하도록 공무원에게 지시하자 홍콩의 중국화를 가속화하려는 조처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홍콩 행정서(行政署)는 이날 정부 각 부처에 보낸 공고문에서 "중국 본토와 홍콩 간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중국·홍콩 관계'라는 용어를 사용해서는 안된다"며 '본토·홍콩 관계'로 표현할 것을 지시했다고 명보(明報) 등이 18일 보도했다.

홍콩이 '일국양제'(一國兩制·한 국가 두 체제) 원칙에 따라 고도의 자치를 보장받고 있지만, 중국과 대등한 관계가 아니라 중국에 소속된 행정구라는 점을 분명히 하기 위한 의도로 받아들여진다.

홍콩 정부에 대한 표현은 '정부당국' 대신 '홍콩특별행정구 정부'나 약칭 '정부'를 사용하도록 요구했다.

행정서는 "홍콩 주권의 중국 반환과 관련한 표현에서 '통일'이라는 용어를 사용해서는 안되며, 대신 '회귀'나 '조국 회귀' 또는 '홍콩에 대한 주권행사 회복'을 사용해야 한다"며 "'통일'은 대만 문제에만 사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부 비판하는 마오멍징 홍콩 공민당 의원
정부 비판하는 마오멍징 홍콩 공민당 의원

정부 비판하는 홍콩 의원
(홍콩=연합뉴스) 최현석 특파원 = "홍콩 정부는 시위현장에서 혼란이 생기기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마오멍징(毛孟靜) 홍콩 입법회(한국 국회격) 의원은 4일(현지시간) 연합뉴스와 한 전화인터뷰에서 "3일까지 나흘간 몽콕(旺角) 시위 현장에 있었지만 단 한 명의 경찰밖에 보지 못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사진은 몽콕 시위 현장에 있는 마오멍징 의원. 2014.10.5
photo@yna.co.kr

또, '일국양제'와 '홍콩인이 홍콩을 통치한다'라는 표현에는 인용부호(「」)를 사용하도록 했지만, '고도의 자치'에 대해서는 인용부호를 사용하지 말도록 요구했다.

홍콩에서 인용부호가 중요성을 강조하기 위해 사용되기도 해 이번 조처가 '고도의 자치'의 중요성을 격하하려는 의도라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고 홍콩 언론들은 전했다.

렁춘잉(梁振英) 행정장관(행정수반)은 2013년 시정보고 당시 연설문에서 '고도의 자치'에 인용부호를 사용했지만, 올해 시정보고에서는 사용하지 않았다.

야당인 공민당(公民黨) 소속 마오멍징(毛孟靜) 입법회(한국 국회격) 의원은 "정부가 홍콩의 지위를 낮춰 대륙화를 가속화하려는 것으로 보인다"며 "'고도의 자치'에 인용부호를 뺀 것은 중앙정부와 홍콩 정부가 '고도의 자치'의 중요성을 낮추려 한다는 것을 반영한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행정서 대변인은 "홍콩 기본법에 표시된 사항을 반영한 조처"라며 "인용부호 사용이 일국양제와 고도의 자치 등 원칙에 영향을 주지 않을 것"이라고 해명했다.

harrison@yna.co.kr

공유하기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본문 글자 크기 조정
제보

핫뉴스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

오래 머문 뉴스

    랭킹뉴스

    D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