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연합뉴스 최신기사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또 '좌초 위기' 마산로봇랜드…사업의지 있나

송고시간2015-07-22 19:40

이 뉴스 공유하기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본문 글자 크기 조정

홍준표 "사업 철수" 공언, 창원시 '단독 추진' 횜들어 무산 우려

새로운 민간사업자를 찾지 못하고 있던 경남 마산로봇랜드 사업이 좌초 위기를 맞았다. 사진은 마산로봇랜드의 조감도. (연합뉴스 자료사진)

새로운 민간사업자를 찾지 못하고 있던 경남 마산로봇랜드 사업이 좌초 위기를 맞았다. 사진은 마산로봇랜드의 조감도. (연합뉴스 자료사진)

(창원=연합뉴스) 이정훈 기자 = 새로운 민간사업자를 찾지 못하고 있던 경남 마산로봇랜드 사업이 좌초 위기를 맞았다.

울트라건설을 대신할 새로운 민간투자자를 물색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경남도와 창원시간 신경전과 엇박자가 막연한 우려로만 치부되던 마산로봇랜드 사업 자체의 위기를 현실화시킨 꼴이다.

지난 21일 공언한대로 창원시와 함께 사업주체인 경남도 철수가 현실화된다면 사업은 순식간에 방향을 잃고 장기간 난항을 겪을 것으로 보인다.

최근 경남로봇랜드재단이 중단된 사업 재개를 위해 대우건설 참여 조건을 협의해왔고 그 조건 일부를 공개했다. 이를 놓고 안상수 창원시장이 '시 입장이 제대로 반영되지 않았다'고 불쾌감을 표현하자 홍준표 도지사가 이를 겨냥, 사업 철수란 '초강수'를 둔 것이다.

마산로봇랜드 사업의 근거가 되는 법령은 '지능형 로봇개발 및 보급촉진법'이다.

해당 법 31조는 광역시·도지사와 산업통상자원부령으로 정하는 공공기관이 로봇랜드 사업을 하도록 규정했다.

경남도가 이탈하더라도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에서 규정한 공공기관이 경남도를 대체할 수 있다.

그러나 경남도를 제외한 새 사업주체는 사실상 찾기 어렵다.

창원시는 "경남도를 설득하는 것 말고는 다른 방법은 없다"고 말했다.

그러나 마음이 떠난 경남도를 복귀시키는 뾰족한 방법이 없다는 것이 창원시의 고민이다.

진주의료원 폐업, 무상급식 지원중단 등 그간의 사례로 볼때 한번 마음을 정한 홍준표 지사를 다시 되돌리기는 어렵다는 것을 잘 알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창원시 단독으로 이 사업을 떠맡기엔 덩치가 너무 크다. 불투명한 '사업성'이란 결정적 숙제를 혼자 안기에도 너무 부담스럽다.

더구나 경남도가 손을 털고 나가는 상황에서 새로운 민간사업자를 구하기란 더 어렵다.

사업주체가 빠지고 민간사업자를 구하기 어렵다면 사업이 백지화 수순으로 갈 수도 있다.

마산로봇랜드 사업 실패는 인근에 들어설 로봇비즈니스벨트 사업에도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뻔해 보인다.

진북산업단지에 들어서는 로봇비즈니스벨트는 마산로봇랜드 사업과 시너지 효과를 기대하면서 시작된 사업이다.

마산로봇랜드가 들어설 예정이었기에 로봇비즈니스벨트 사업이 가능하게 됐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로봇랜드에서 로봇 콘텐츠를 기반으로 한 테마파크가 핵심이라면, 로봇비즈니스벨트는 로봇을 설계·제작하는 연구개발 중심 사업이다.

경남도와 창원시는 로봇랜드, 로봇비즈니스벨트를 양대 축으로 경남의 국내 로봇산업의 핵심거점으로 만든다는 복안을 갖고 사업을 추진해왔다.

로봇랜드 사업이 좌초하더라도 로봇비즈니스벨트는 그대로 추진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경남의 로봇산업 경쟁력 저하는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마산로봇랜드 대상지 주민들은 사업이 잘못될까 전전긍긍했다.

김형엽 구복마을 이장은 "공사를 하느라 동네 주변 산을 다 파헤쳐 놓은 상태에서 사업이 안 되면 어떡하란 말이냐"며 "어떤 방식으로든 진행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순기 구산면 주민자치위원장은 "행정기관끼리 다툼때문에 수백억원을 투자해놓은 사업이 잘못돼선 안 된다"며 "누가 하던 간에 사업을 추진하는 쪽으로 가닥이 잡혀야 한다"고 말했다.

마산로봇랜드는 2018년까지 7천억원(국비 560억원, 지방비 2천100억원, 민자 4천340억원)을 들여 창원시 마산합포구 구산면 구복리·반동리 126만㎡에 로봇전시관, 로봇경기장, 체험시설, 컨벤션센터, R&D시설, 테마파크, 호텔 등을 짓는 사업이다.

지방비 가운데 창원시가 1천100억원, 경남도가 1천억원을 부담한다.

하지만 이 사업 시공사인 울트라컨소시엄의 최대 출자 회사인 울트라건설이 부도나면서 지난해 10월 법원에 회생절차 개시를 신청, 공정률 13% 상태에서 공사가 중단됐다.

이후 울트라건설은 이 사업에서 손을 뗐고, 대체 사업자가 정해지지 않아 지금까지 공사가 재개되지 않고 있다.

seaman@yna.co.kr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