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연합뉴스 최신기사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인터뷰> IIF 이사 "한국 기업부채, 문제될 수 있다"

송고시간2015-11-22 05:53

이 뉴스 공유하기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본문 글자 크기 조정

(서울=연합뉴스) 이 율 윤영숙 기자 = "미국이 금리를 올리는 환경에서 환율 변동은 (신흥국) 기업들을 빚 상환과 외환 위험에 노출시킬 수 있다"

22일 국제통화기금(IMF) 통화자본시장부 부국장을 지낸 훙 트란 국제금융협회(IIF) 집행상무이사는 연합뉴스와의 이메일 인터뷰에서 신흥국의 부채 위험을 지적하며 이같이 말했다.

트란 이사는 금융위기 이후 18개 신흥국에서 비금융 기업부채의 증가세가 두드러졌다며 가파른 신흥국의 부채 증가가 "걱정스럽다"고 우려했다.

그는 한국의 경우 "비금융 부문 부채 증가세는 다른 신흥국 대비 상대적으로 제한적이나 비금융 기업부채가 높은 수준인 점은 문제(a problem)가 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트란 이사는 2007년 말 이후 한국의 GDP 대비 가계부채는 12%포인트 증가해 GDP의 84%를 넘어섰지만 "가처분 소득 대비로는 165%로 훨씬 더 높은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부채 이자 부담과 디폴트 위험은 그동안 저금리 덕분에 관리 가능했지만, 금리가 오르면 이자 부담과 디폴트 위험이 올라 간다"라고 말했다.

그는 또 "일부 비금융권 기업들은 외환 위험을 헤지해두지 않아 외환 리스크가 은행들의 신용 위험으로 전환될 수 있다"라고 우려했다.

다음은 트란 이사와의 일문일답.

-- 전 세계와 신흥국의 부채는 어느 정도 수준인가.

▲ 2008년 금융위기 이후 빠른 부채 축적은 걱정스럽다. 글로벌 총 부채는 240조 달러로 전 세계 GDP의 320%에 달한다. 신흥국 총부채는 58조 달러를 웃돌며, 이는 GDP의 195% 수준으로 역대 최고 수준이다. 이렇게 높은 부채는 우려스럽다.

-- 왜 부채 증가를 우려해야 하는가.

▲ 이는 투자와 소비를 지원하기 위해 신규 부채를 만들어야 하는 기업과 가계의 역량을 제한해 장차 성장 둔화 시나리오에 빠지게 하기 때문이다. 전통적으로, 상대적으로 짧은 기간에 빠른 부채 축적은 디폴트 증가로 이어진다. 주로 느슨한 대출 및 투자 기준이 이러한 부채 증가에 기여한다.

지금까지 그러한 높은 부채는 초저금리로 관리 가능했지만 차입자들은 금리 정상화나 느린 성장, 원자재 가격 하락, 혹은 이 모든 것에 취약해졌다.

이런 문제는 많은 신흥국에 부실채권(NPL) 비율을 높였고, 은행들의 성장을 지원하기 위한 신용 제공에 제한을 가했다.

-- 부채가 신흥국에서 특히 심각한 수준인가.

▲ 우리가 조사한 18개 신흥국에서 비금융 기업부채의 증가가 2007년 이후 더 두드러졌다. 이는 2015년 초 GDP의 89%로 29%포인트나 증가했다. 홍콩, 중국, 싱가포르, 터키, 브라질의 GDP 대비 부채 증가율이 가장 높았다. 현재, GDP 대비 비금융기업 부채 비율은 중국 161%, 홍콩 226%, 싱가포르 142%, 한국 106%이며, 이들은 선진국의 90%보다 훨씬 더 높다.

-- 신흥국의 가계부채는 높은 수준인가.

▲ 2007년 이후 GDP 대비 가계 부채 증가율은 신흥 아시아로 집중됐다. 특히 태국, 싱가포르, 중국, 말레이시아 등의 증가율이 높았다. 그러나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한국이 84%로 조사 대상 신흥국 중에서 가장 높았으며 선진국의 평균 가계부채 비율(74%)보다 높았다.

-- 신흥국의 정부부채는 어떤가.

▲ 2007년 이후 GDP 대비 정부부채 증가세는 남아프리카(23%p), 한국(17%p), 체코(15%p) 등이 더 두드러졌으나 이는 선진국에 비해 완만한 수준이다. 선진국의 GDP 대비 평균 정부부채의 비율은 2007년말 66%에서 2015년 초 101%로 높아졌다.

한편, 홍콩, 브라질, 터키, 폴란드 등은 금융위기 이후 금융부문 부채에서 가장 큰 증가를 보였다.

-- 한국의 문제는 기업부채인가, 아니면 가계부채인가.

▲ 한국의 GDP 대비 총부채(가계, 정부, 금융, 비금융 기업부채) 비율은 2007년 말 이후 45%포인트가량 증가해 2015년 1분기 317%에 달했다.

GDP 대비 정부부채 비율은 17%포인트 증가해 41%로 높아졌고, 비금융 기업 부채는 15%포인트 증가해 106%를 기록했다.

한국의 비금융 부문 부채 증가세는 다른 신흥국 대비 상대적으로 높지 않으나 수준이 높다는 문제가 될 수 있다. 외환 부채 비중은 비금융 기업부채의 12%에 달한다. 국제결제은행(BIS)이 주목한 것처럼 한국 기업들은 역외 채권 시장에서 조달한 수익금의 많은 부분을 역내 은행계좌에 현금으로 보관하고 있다.

글로벌 금리 상승 및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의 긴축 환경에서 현지 통화의 잠재적인 추가 약세와 경제 성장의 잠재적 둔화, 자본 유출 등은 문제가 될 수 있다. 사실, 미 달러화 표시 채권은 비금융권 기업들로는 점점 갚기 어려워지고 있다.

-- 한국의 가계부채는 어느 정도 문제인가.

▲ 2007년 말 이후 지금까지 GDP 대비 가계부채는 12%포인트 증가해 84%를 넘어섰지만, 가처분 소득 대비로는 165%로 훨씬 더 높은 비율을 보였다. 가계부채 상환비율은 11.5%로 상대적으로 높다. 그리고 주택 가격은 지난 8년간 18% 올라 약간의 조정에 직면할 수 있다. 한국은행의 최근 건전성평가(스트레스 테스트)에 따르면 만약 금리가 3%포인트 오르면 위험에 처한 가구(가계부채상환비율이 40%를 넘는 가구)의 수는 현재 10.3%에서 14%로 높아질 것으로 추정됐다. 또 주택가격이 15% 하락하면 위험에 처하는 가구 수는 13%로 상승할 전망이다.

-- 한국 금융부문의 부채도 문제인가.

▲ 금융부문 기업들은 최근 몇 분기 동안 레버리지(차입투자)를 재개하기 시작했으나 해당 기업들의 GDP 대비 부채는 86%로 금융위기 이전 수준에 가깝다.

-- 우리가 특히 무엇을 우려해야 하는가. 그리고 왜 그런가.

▲ 2008년 금융위기 고점보다 더 높은 수준까지 올라선 부채 증가세는 걱정스러운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우선, 부채 수준이 그같이 높으면 문제이며, 탄탄한 성장을 지원하기 충분한 속도로 신규 부채를 만드는 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이는 추가적인 부채를 얻는 데 따르는 한계이익이 줄어들기 때문이다.

-- 연준이 금리를 올리기 시작하면 위험이 되는가.

▲ 부채 이자 부담과 디폴트 위험은 지속된 저금리 덕분에 관리 가능했지만, 금리 환경이 정상화되면 이자 부담과 디폴트 위험은 둘 다 오르고, 일부는 스트레스로 이어질 수 있다. 미국이 금리를 올리는 환경에서 환율 변동은 기업들을 원리금 상환과 외환 위험에 노출시킬 수 있다.

미달러화 대비 현지 통화가치의 하락은 일부 신흥국 기업들이 외환부채의 이자를 갚거나 만기도래한 부채를 롤오버하는 데 더 큰 어려움을 줄 수 있다. 일부 신흥국 기업들은 수출 사업에 관여할 때 외환 수익이 외환 부채 이자를 상쇄하며 자연스럽게 헤지를 해왔다. 그러나 이러한 기업의 상당수는 수출품(원유나 원자재) 가격이 크게 하락해 그러한 자연스러운 헤지의 혜택이 줄어들었다.

-- 신흥국 은행권도 위험해질 수 있나?

▲ 일부 신흥국 은행은 특별한 도전에 직면할 수 있다. 신흥국 기업 및 가계 부채가 최근 몇 년간 가파르게 증가하면서 신흥국 은행들의 대외 채무도 함께 증가했다.

2008년 금융위기 이후 글로벌 국경 간 은행 (자금) 흐름이 하락했지만, 일부 신흥국은 최근 몇 년간 은행간 자금 흐름이 견조한 수준을 보여왔다. 이는 역내 대출의 확대와 비금융 기업들의 채무 증가에 기여했으며, 또한 터키나 폴란드 등 일부 국가에 은행권 단기 채무의 증가를 초래했다.

최근 몇 년간 달러화 부채의 증가를 감안할 때 많은 선진국에서 미 달러화의 강세는 금융 기업들의 부채 부담을 증가시켰다.

일부 비금융기업들은 외환 위험을 헤지해두지 않아 이러한 외환 리스크는 은행들의 신용 위험으로 전환될 수 있다. 신흥국에 부실채권(NPL)이 증가하는 환경에서 신흥국 성장 전망에 대한 우려는 신흥국 은행이나 기업에 대한 국제은행들의 대출 의향을 낮출 수 있다.

<인터뷰> IIF 이사 "한국 기업부채, 문제될 수 있다" - 2

ysyoon@yna.co.kr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