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박수윤 기자 =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와 안철수 전 공동대표가 13일 돌아올 수 없는 루비콘 강을 건너며 끝내 결별했다.
내년 총선을 앞두고 당 혁신과 지도체제 정립 방안을 둘러싼 입장차를 줄이지 못한 채 치킨게임을 방불케한 두 사람의 갈등이 안 전 대표의 탈당이라는 파국으로 귀결되면서 완전히 등을 돌려버렸다.
잠재적 대선 경쟁자인 두 사람은 '물과 기름', '화성에서 온 문재인, 금성에서 온 안철수'라는 말이 회자된 데서 알 수 있듯 화합하는 모습보다는 갈등하는 장면을 더 많이 연출하며 불편한 관계를 이어왔다.
두 사람의 갈등은 지난 2012년 대선 후보 단일화 협상 때로 거슬러 올라간다.
양측은 단일화 룰을 두고 제안과 역제안을 거듭하며 대치했다. 후보 등록을 불과 이틀 앞둔 2012년 11월23일 안 전 대표가 대선후보직을 전격 '포기'했고, 합의와 경선을 통한 '아름다운 단일화'에 실패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안 전 대표는 사퇴 직후 지방행을 택해 선거 지원을 기대한 문 대표의 발을 동동 구르게 했다. 급기야 문 후보는 12월 5일 서울 용산구의 안 전 대표 자택을 찾았으나 안 전 대표가 집에 없어 '헛걸음'을 치는 일까지 벌어졌다.
안 전 대표는 대선을 13일 앞둔 12월 6일 전폭적 지원 입장을 밝히고 선거전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었지만 문 대표 측에서는 때늦은 결정이었다고 두고두고 아쉬워했다.
2013년 10월에는 대선 때 문 후보 측 상황실장을 맡은 새정치연합 홍영표 의원이 펴낸 대선 비망록을 놓고 진실공방이 벌어지기도 했다.
홍 의원이 비망록에서 안 전 대표가 후보직 사퇴 전날인 2012년 11월 22일 문 후보와 단독회동한 자리에서 "후보직을 양보하면 민주당에 입당하겠다"는 발언을 한 적이 없다고 주장한 것이 발단이었다.
안 전 대표 측은 즉각 안 후보가 '민주당 입당'을 협상 카드로 들고 단독 회동에 임했으며, 문 후보에게 후보직을 양보하면 민주당에 입당하겠다고 발언한 것이 사실이라고 반박했다.
안 전 대표가 지난해 3월 민주당과 합당해 새정치민주연합에서 '한솥밥'을 먹은 뒤로도 양측의 궁합을 잘 맞지 않았다.
안 전 대표는 문 대표가 전당대회 당대표 후로로 나온 지난 1월 경선후보 방송토론에서 자신을 향해 "소주 한잔하며 허심탄회하게 대화하고 싶다"고 말하자 "제가 술을 못 마신다고 여러 번 말씀 드렸는데, 잊어버리신 모양"이라고 언급해 둘 사이의 '앙금'이 가시지 않은 것 아니냐는 해석을 낳았다.
특히 문 대표 하에서 치러진 지난 4·29 재·보궐 선거 참패 이후 두 사람은 위태로운 신경전을 벌이며 악화일로를 걸었다.
문 대표가 재보선 직후 안 전 대표의 '원내대표 합의 추대' 제안을 일축하면서 이상 기류를 형성했고, 이후 당 혁신위원회가 출범하는 과정에서 두 사람의 관계는 더 멀어졌다.
안 전 대표는 지난 5월 혁신위원장을 맡아 당 체질을 개선해 달라는 문 대표의 요청에 "제가 맡는 것이 적절치 않다"라며 거절했다.
특히 이 과정에서 안 전 대표의 혁신위원장 수용 의사를 놓고 두 사람이 서로 '수용 의사였다', '아니었다'는 진실공방을 벌이면서 불안한 소통 양상을 드러내기도 했다.
양측의 긴장은 지난 9월을 변곡점으로 더욱 가팔라졌다.
안 전 대표는 9월초부터 "혁신위의 혁신은 실패했다"고 규정하고 당내 부패척결, 낡은진보 청산을 위한 자체 혁신안을 발표했다.
안 전 대표는 꾸준히 문 대표의 응답을 요구했지만 문 대표는 묵묵부답으로 일관했다. 오히려 '낡은 진보'는 형용 모순이며, '새누리당 프레임'이라고 반박하면서 두 사람간 갈등은 일촉즉발 상황이 됐다.
이런 와중에 문 대표는 지난달 18일 광주를 방문해 안 전 대표의 혁신안이 "백 번 옳은 얘기"라며 뒤늦게 호응하며 '문안박 공동지도부' 구성을 제안했지만 안 전 대표는 지난달 29일 "이미 혁신안으로 해결될 상황이 지났다"며 오히려 '혁신 전당대회'를 역제안했다.
침묵하던 문 대표는 지난 3일 분열의 전대를 우려하며 거부하는 뒤 대신 안 전 대표가 제안한 10대 혁신안을 당헌·당규에 반영하겠다고 밝혔지만 안 전 대표의 마음을 되돌리기에는 역부족이었다.
안 전 대표는 지난 6일 기자회견을 열고 "이제 더이상 어떤 제안도 요구도 하지 않을 것"이라며 혁신전대 수용을 재촉구하는 최후통첩을 한 뒤 칩거에 들어갔다.
이후 당내에서는 각종 중재안이 쏟아지며 문 대표와 안 전 대표의 관계회복에 나섰지만 혁신전대 개최를 둘러싼 두 사람의 입장이 팽팽히 맞서면서 간극을 좁히지 못했다.
안 전 대표의 탈당 회견 전날인 12일 심야에 탈당을 철회해달라는 의원 76명의 호소문이 자택으로 전달되고, 문 대표가 이날 새벽 1시께 안 전 대표의 자택을 방문하기까지 했지만 끝내 타협의 길을 찾지 못했다.
안 전 대표측 관계자는 "지난 9월 혁신안을 냈을 때 문 대표가 받았다면 오늘날 이런 일은 없었을 것"이라며 "어떤 이야기를 해도 '대표를 흔드는구나'라며 의심의 눈길을 보내고 공천을 노린다고 생각하니 불신이 커진 것"이라고 밝혔다.
문 대표측은 "정치를 바꾸는 건 한 사람의 힘으로 되는 게 아니어서 부족하나마 힘을 합치려고 했지만 이런 결과가 초래돼 안타깝다"고 말했다.
clap@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2015년12월13일 11시05분 송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