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연합뉴스 최신기사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불야성' 도시에 살면 비만·불면증 위험 높다"

송고시간2016-03-12 08:30

이 뉴스 공유하기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본문 글자 크기 조정

서울대병원·고대 안암병원, 8천여명 분석결과

상하이 야경

상하이 야경

(서울=연합뉴스) 전명훈 기자 = 밤에도 각종 조명으로 환한 지역에 거주하는 사람은 비만과 불면증에 노출될 위험도가 높다는 내용의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이런 조명은 사람의 건강을 해칠 뿐 아니라 생태계까지 교란할 수 있어 적절한 규제가 필요하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서울대병원 신경과 정기영 교수, 고려대 안암병원 신경과 구용서 교수 등은 야간에 상대적으로 밝은 지역의 비만율이 55%에 달했지만, 어두운 지역의 비만율은 40%에 그쳤다고 12일 밝혔다.

연구팀은 경기도 지역에 거주하는 39∼70세 8천526명의 건강·거주지 정보에다 미 군사기상위성이 수집해 제공하는 우리나라 지역별 야간(20∼22시30분) 야외 조명 밝기 자료를 함께 분석해 이런 결과를 도출했다.

야간 조명의 밝기는 0∼63으로 측정해 45 이상을 '밝은 지역'으로 설정했다. 밝은 지역 주민은 4천745명이었고, 어두운 지역 주민은 3천781명이었다. 체질량지수(BMI)는 25㎏/㎡ 이상을 비만으로 분류했다.

연구팀은 야간에 밝은 지역에 거주하는 주민이 비만에 노출될 위험은 상대적으로 어두운 지역 주민의 1.25배에 이르는 것으로 분석했다.

야간의 야외 조명은 수면의 질도 떨어뜨렸다.

조명이 너무 밝은 지역의 주민은 수면 시간이 6시간48분에 그쳐 어두운 지역 주민(7시간18분)보다 짧았다.

밝은 지역 주민이 잠드는 시각은 평균 23시15분으로, 어두운 지역 주민(10시18분)보다 1시간 가까이 늦었다.

건강한 수면을 방해하는 '습관적 코골이' 비율 역시 밝은 지역(16%)이 어두운 지역(11%)보다 높았다.

이러한 모든 상황을 고려하고 다른 변수를 통제해 계산한 결과 밝은 지역 주민의 불면증 위험은 어두운 지역 주민의 1.53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는 야간의 빛이 생체 리듬을 교란하기 때문에 나타난다고 정기영 교수는 설명했다.

생체 리듬은 '생체시계'로 불리는 뇌 시상하부의 시신경교차상핵(SCN)에서 조절된다. 생체시계는 신체의 장기와 대사시스템에 연결돼 밤낮에 따른 체내 활동을 원활하게 유지하는 기능을 한다.

생체시계는 낮 시간대에 빛에 노출되고 밤에는 노출되지 않아야 고유한 리듬을 유지할 수 있다.

잠을 자야 할 밤에 너무 밝은 빛에 노출되면 생체 리듬에 나쁜 영향을 줄 수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너무 밝은 빛이 건강한 대사를 방해하고 수면의 질을 떨어뜨려 비만율과 불면증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는 게 정 교수의 분석이다.

야간의 밝은 조명은 사람뿐 아니라 자연 생태계에도 위협이 된다고 정기영 교수는 강조했다.

여름이면 도심에서 한밤중까지 울어대는 매미, 산란기가 앞당겨진 개구리, 도시의 빛 때문에 생존 자체가 불가능해진 반딧불이 등이 모두 '밝은 조명'의 영향을 받았다는 것이다.

정기영 교수는 "소규모 데이터가 아닌 8천명 이상의 인구학적인 규모로 진행된 연구로 비만과 야간 조명의 관계를 밝혀낸 것은 이번이 처음인 것으로 알고 있다"고 설명했다.

정 교수는 또 "너무 밝은 조명은 생태계를 파괴하고 건강을 해치는 '빛 공해'가 되기 때문에 우리나라에도 '빛공해방지법'이 있지만 그 존재조차 모르는 사람이 많다"며 "야간 조명 환경의 영향을 고려한 주의 깊은 도시 계획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junmk@yna.co.kr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