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연합뉴스 최신기사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美정부, 북한인권 첫 제재 추진…"北관리 제재리스트 작성중"

송고시간2016-05-03 07:17

이 뉴스 공유하기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본문 글자 크기 조정

킹 특사 "북한인권 관련 광범위한 이슈에 관여된 개인들 제재 검토"

영상 기사 미국, 북한 인권 관련 첫 제재 추진…대북압박 강화
미국, 북한 인권 관련 첫 제재 추진…대북압박 강화

[앵커] 미국은 북한을 향해 핵과 미사일 도발을 중단하라는 말과 함께 열악한 인권상황을 개선하라는 압박도 병행하고 있습니다. 대북 압박수위를 높이기 위해 인권 유린을 자행한 북한의 개인을 제재하는 방안을 추진중이라고 합니다. 워싱턴에서 김범현 특파원입니다. [기자] 미국 정부가 사상 처음으로 북한 인권문제와 관련해 양자 제재를 추진 중입니다. 로버트 킹 미국 국무부 북한인권특사는 현지시간 2일, 전략국제문제연구소 주최 세미나에 참석해 미국 정부의 이 같은 방침을 공개했습니다. <로버트 킹 / 미국 국무부 북한인권특사> "(북한 인권과 관련한 이슈에 연루된) 북한 정부의 개인들에게 제재를 적용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미국 정부는 그동안 핵과 미사일 개발 등 불법 활동에 관여한 북한의 개인과 단체를 블랙리스트, 즉 제재대상에 올려왔을 뿐 인권문제만을 이유로 북한 관리를 제재한 적은 없습니다. 일본 아사히신문은 지난달 말, 미국 정부가 정치범 수용소 운영과 관련된 국가안전보위부와 인민보안부 관계자 10명 안팎을 인권 가해자로 규정해, 제재대상에 포함시킬 것이라고 보도한 바 있습니다. 다만 미국이 인권유린을 자행한 개인의 명단을 작성하더라도 북한의 최고지도자 김정은은 그 대상에서 제외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킹 특사는 또 지난달 중국의 식당에서 근무하던 북한 종업원 13명의 집단 탈출 사태에 대해 "중국이 한국과의 관계를 중요하게 생각하고 북한에 대한 실망감이 커지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설명했습니다. 한편 735일간 북한에 억류됐다 풀려난 한국계 미국인 케네스 배는 CNN방송과의 인터뷰에서 "아침 8시부터 오후 6시까지 돌을 나르고 석탄을 캐는 중노동은 물론, 언어 폭력에 시달렸다"고 소개했습니다. 워싱턴에서 연합뉴스TV 김범현입니다. 연합뉴스TV : 02-398-4409(제보) 4441(기사문의), 카톡/라인 jebo23

(워싱턴=연합뉴스) 노효동 특파원 = 미국 정부가 사상 처음으로 북한 인권문제와 관련해 양자 제재를 추진하는 것으로 2일(현지시간) 공식 확인됐다.

로버트 킹 국무부 북한인권특사는 이날 미국 워싱턴D.C.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에서 한·미·일 3국의 북한인권 담당 정부 대표가 참석한 가운데 열린 세미나에서 "납치문제를 포함해 북한인권과 관련한 광범위한 이슈에 연루된 (북한 정부의) 개인들에 제재를 적용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미국 정부가 북한 인권문제만을 이유로 북한 관리들에 대한 제재를 검토하는 것은 처음 있는 일이다.

美정부, 북한인권 첫 제재 추진…"北관리 제재리스트 작성중" - 2

세미나에 참석한 소식통들은 "미국 국무부가 북한 인권유린 행위에 가담한 북한관리들을 상대로 제재를 부과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일본 아사히 신문은 북한 내 정치범 수용소의 운영에 관여하는 국가안전보위부와 인민보안부의 고위 관계자 등 10명 안팎을 '인권 가해자'로 간주하고 이르면 이달 중에 이들을 제재 대상에 포함시킬 것이라고 지난달 28일 보도했다.

그러나 북·미관계에 미칠 결정적 영향을 감안해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은 제재 대상에서 제외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전해졌다. 제재 대상자는 미국 내 자산이 동결되고 미국 입국이 금지된다.

킹 특사는 지난달 북한의 국외 식당 종업원 13명이 집단 탈북하는 사태가 발생한 것과 관련해 "중국이 한국과의 관계를 중요하게 간주하고 있고 북한에 대한 실망감이 커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밝혔다.

킹 특사는 "과거 중국이 탈북자를 강제송환한 기록을 가지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이 같은 일이 중국에서 벌어졌다는 것을 믿기 힘들다"며 "국제사회는 앞으로 중국이 탈북자를 '난민'으로 인정하도록 더 큰 압박을 가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킹 특사는 올해 미국 대선과 내년 한국 대선이 치러지더라도 북한 인권문제 해결에 중요성을 둬온 한·미 양국의 정책에는 변화가 없을 것으로 내다봤다.

이정훈 외교부 인권대사는 "북한 인권문제에 대한 논쟁은 이제 끝났다"며 "지금 국제사회의 큰 흐름은 관련자들에 대한 책임 추궁이며 반인도범죄에 대한 처벌을 실제로 집행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이 대사는 "북한 인권유린에 책임이 있는 북한의 지도자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를 통해 국제형사재판소(ICC)에 회부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방안이지만, 중국과 러시아의 거부권 행사로 현실적인 제약이 있다"고 지적하고 "다만 안보리 이외에도 ICC 가입국 정부가 ICC에 북한 지도자를 제소하는 방식도 가능하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북한 노동자가 취업하고 있는 폴란드는 ICC 가입국이기 때문에 북한 노동자에 대한 북한 당국의 인권침해와 임금 착취 등의 책임을 ICC에 물을 수 있을 것"며 "북한 노동자가 나가 있는 국가는 40개국이 넘어선다"고 밝혔다.

한·미·일 3국의 북한인권 당국자들이 한자리에 모인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일본 측에서는 카토 가츠노부 납치문제 담당상이 나와 일본 납북자 문제 해결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세미나에는 탈북자인 그레이스 조(25)씨가 나와 북한인권 문제에 대해 국제사회가 더 적극적 노력을 기울여줄 것을 호소했다.

rhd@yna.co.kr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