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연합뉴스 최신기사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미세먼지 최악인데" 환경부-수도권 지자체 '경유차 대책' 고심

송고시간2016-05-27 10:39

이 뉴스 공유하기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본문 글자 크기 조정

예산부족에 法 개정도 필요…'부처간 엇박자'도 노출

'친환경버스 확대·노후차량 폐차·차량부제' 등 다각 검토

'미세먼지 주범 경유차 대책 마련 촉구'
'미세먼지 주범 경유차 대책 마련 촉구'

(서울=연합뉴스) 김주성 기자 = 미세먼지 농도가 '나쁨'을 기록한 27일 오전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환경운동연합 회원이 방독면을 쓴 채 미세먼지를 최소화할 수 있는 근본대책 마련을 촉구하고 있다. 2016.5.27
utzza@yna.co.kr

(전국종합=연합뉴스) '조용한 살인자' 미세먼지 문제를 해결하라는 국민의 아우성에 환경부와 서울, 경기, 인천 등 수도권 지방자치단체들이 대책을 고심 중이다.

그러나 지자체 간 협의나 비용 마련, 법 개정 등의 난관이 버티고 있어 국민이 미세먼지 대책 효과를 체감하기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우선 타깃은 오염물질을 많이 배출하는 경유차다.

환경부는 국내 미세먼지 발생량의 15∼20%(수도권은 30∼40%)를 배출하는 자동차, 특히 자동차 미세먼지의 70%를 내뿜는 경유차의 오염물질 배출을 줄이는 대책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경유 건설기계 차량 미세먼지 대책은
경유 건설기계 차량 미세먼지 대책은

(세종=연합뉴스) 안정원 기자 = 정부가 미세먼지 발생의 주원인 가운데 하나로 경유차를 꼽고 대책 마련에 나섰다.
대부분 경유를 사용하는 건설기계차량에 대한 대책도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경유를 쓰는 건설기계는 미세먼지(PM10)와 초미세먼지(PM2.5) 그리고 질소산화물(NOx)의 주 배출원으로 꼽히고 있다.
콘크리트믹서 트럭이 세종시 공사현장 인근을 지나고 있다. 2016.5.27
jeong@yna.co.kr

환경부는 경유에 붙는 환경세 등 각종 세금을 올리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경유값을 올리고, 휘발유값을 내리는 방안도 검토되지만, 기획재정부 등 다른 부처와 이견이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는 2007년 각종 세금(유류세)을 조정해 휘발유값 대 경유값을 100대 85 수준으로 맞춰놓았다. 2018년 말 교통·에너지·환경세가 폐지되고, 개별소비세가 부과되는데, 이 시기에 맞춰 경유값과 휘발유값을 조정하자는 것이다.

또 ▲ 노후 경유차 폐차 유도 ▲ 노후 경유차량이 다니지 못하는 '환경지역'(Low Emission Zone·LEZ) 확대 ▲ 고농도 미세먼지 발생시 차량부제 시행 ▲ 오염물질 총량제 대상 확대 등도 대책에 포함됐다.

경유차의 90%를 차지하는 일반차량 외 10%인 사업용차량(화물차와 택시·버스 등 여객교통)을 경유와 전기차량을 혼합시킨 하이브리드나 전기차 등으로 바꾸도록 지원하는 인센티브 대책도 있다.

경유 사업용차량에 대·폐차지원금(차를 바꾸거나 폐차할 때 하는 지원)과 하이브리드 전환 지원을 확대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연합뉴스TV 제공]

[연합뉴스TV 제공]

덤프트럭·레미콘·지게차 등에 매연 저감장치 부착을 지원하는 방안도 모색하고 있다.

현재는 환경부가 지게차에, 서울시는 덤프트럭과 레미콘에 매연저감장치 부착을 지원하고 있다.

서울시는 특단의 대책을 마련하라는 박원순 시장의 지침에 따라 서울 시내를 다니는 경유차와 경유버스를 '깨끗하게' 만드는 방안을 고심하고 있다.

우선 경기도와 인천에서 들어오는 경유 시외버스 1천700여대를 CNG(천연압축가스) 버스로 바꾸는 방안을 협의할 방침이다.

교체 비용이 2천억원이 넘는 현실적인 상황을 감안해 급한대로 매연 저감장치를 부착하는 방안도 제안할 계획이다.

효과는 덜하겠지만 비용이 경기 210억원, 인천 12억원 등 220여억원이면 가능해 실효성은 클 것으로 기대된다.

경유버스보다 훨씬 많은 3천여대에 달하는 출퇴근, 관광용 전세버스도 문제다.

서울시는 작년 말부터 전세버스를 CNG로 전환하는 노력을 벌이고 있지만 충전소 부족과 비용 등으로 한계를 느끼고 있다.

줄지어 선 콘크리트 믹서 트럭
줄지어 선 콘크리트 믹서 트럭

(세종=연합뉴스) 안정원 기자 = 정부가 미세먼지 발생의 주원인 가운데 하나로 경유차를 꼽고 대책 마련에 나섰다.
대부분 경유를 사용하는 건설기계차량에 대한 대책도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경유를 쓰는 건설기계는 미세먼지(PM10)와 초미세먼지(PM2.5) 그리고 질소산화물(NOx)의 주 배출원으로 꼽히고 있다.
세종시 한 레미콘 회사에 콘크리트 믹서 트럭이 줄지어 서있다.

서울시 관계자는 "전세버스는 주말이면 전국을 누벼야하는데 고속도로 휴게소에 충전소가 한 곳도 없다"고 말했다.

CNG 차량으로 교체할 때 지원이 충분치 않은 것도 문제다. 고급 사양인 전세버스를 CNG 차량으로 바꾸려면 2천600만원 이상 드는데 보조금은 1천200만원 뿐이다.

서울 도심 한복판에 자리한 종로구는 관광버스 공회전을 막는 데 힘을 쏟고 있다. 종로구는 관광객들이 주로 찾는 곳에 불법 주정차 단속을 위한 CCTV를 설치할 계획이다.

노후 경유차량이 다니지 못하는 '환경지역'(Low Emission Zone·LEZ) 제도도 강화한다. 서울시는 CCTV로 LEZ에 노후 경유차량이 다니는지 감시하는 한편 4월부터 환경운동연합 등 시민단체와 함께 상시 단속하고 있다.

감시 대상을 유로 3 이하 차량 중 2005년 이전에 출시된 2.5t 이상 대형차량에서 '모든 경유차량'으로 확대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모든 경유 차량이 정기 검사를 받도록 하려면 법 개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영상 기사 미세먼지 막을 대책, 경유값 인상부터?
미세먼지 막을 대책, 경유값 인상부터?

[앵커] 점점 심각해지는 미세먼지, 급기야 박근혜 대통령까지 나서 특단의 대책을 주문하자 정부가 대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습니다. 일단 경유값을 올려 미세먼지 발생 주범 중 하나인 경유차량을 줄이는 방안이 검토 중인데, 장애물이 한 둘이 아닙니다. 이승국 기자입니다. [기자] 날이 갈수록 심각해지며 국민 건강의 위협요소로 떠오른 미세먼지에 정부가 부랴부랴 대책마련에 나섰습니다. 가장 먼저 검토목록에 오른 것은 휘발유의 85%선인 경유값의 대폭 인상. 미세먼지 원인 중 하나인 질소산화물을 기준치의 최대 20배 이상 내뿜는 경유차를 줄이기 위해서인데 문제는 효과를 보기 쉽지 않다는 것입니다. 국내 경유차량은 작년말 기준 전체 차량의 41%선인 862만대. 하지만 상당수가 트럭같은 산업,생계용이니 경유값을 올린다고 운행을 획기적으로 줄이기 어렵고 휘발유차로 교체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습니다. 정부 안에서도 경제부처들은 주요 세원인 유류세의 근본을 뒤흔들고 산업경쟁력을 약화한다며 반대하는 입장. 계속되는 이견에 대책을 논의하려던 관련부처 차관회의가 취소됐을 정도입니다. 환경단체들은 이번 미세먼지 대책에 경유값 인상을 넘어 지역별, 발생 원인별 대책같은 포괄적 해결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합니다. <이세걸 / 서울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 "화력발전소의 미세먼지를 줄이기 위해서 배출 기준을 강화한다거나 총량 규제한다거나 이런 내용들이 체계적으로 들어가야 되고, 나머지 생활 속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 발생원에 대한 대책 이런 것들이 같이 포함돼야죠." 정부의 종합대책은 다음달 중순쯤 나올 예정. 하지만 산업과 에너지, 세금체계의 근간을 일거에 바꿀 대책을 마련하기란 쉽지 않아 보입니다. 연합뉴스TV 이승국입니다. 연합뉴스TV : 02-398-4409(제보) 4441(기사문의), 카톡/라인 jebo23

문제는 역시 비용이다. 경기도와 인천은 난색을 표하고 있다.

경기도와 인천은 "단계적으로 CNG버스를 유도하고 있지만 1년 내에 멀쩡한 경유버스를 CNG버스로 교체하긴 어렵다"는 입장이다. 버스 사용연한인 9년이 지나지 않으면 법적으로 운행 제한을 강제할 수 없다.

경기도 관계자는 "매연배출 저감장치(DPF)를 부착하는 방안이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마음이 급한 서울시에 비해 경기도와 인천은 현실적 제약 등으로 박자를 맞추지 못하고 있다.

수도권의 한 지자체 관계자는 "수도권 대기질 악화 책임을 경기, 인천에 돌리려는 것이냐"라며 "그렇게 따지면 서울시민이 수도권 발전소 등에서 생산되는 전기를 사용하며 발생하는 오염물질은 어떻게 해야 하느냐"고 불만을 토로했다.

(전준상 강종구 최윤정 우영식 기자)

merciel@yna.co.kr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