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연합뉴스 최신기사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AI의 목표는 효율성 아닌 정의"…AI 윤리 콘퍼런스(종합)

송고시간2016-12-16 11:53

이 뉴스 공유하기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본문 글자 크기 조정

박경신·정재승 교수 등 참여…로봇·챗봇 등의 도덕과 안전 등 논의

(서울=연합뉴스) 김태균 기자 = 4차 산업혁명의 주역으로 꼽히는 인공지능(AI) 기술의 윤리적 책임과 사회적 영향을 논의하는 학술대회가 고려대에서 열렸다.

AI는 현재 스마트폰·중공업·의료 등 여러 분야에서 빠르게 상용화가 이뤄지고 있지만, 이처럼 영향력이 커지는 AI에 대해 어떻게 윤리 법칙과 법적 의무를 적용할지에 대해서는 명확한 합의가 없다.

예컨대 AI가 자동차 운전이나 외과 수술 등 사람의 생명에 영향을 미칠 행위를 할 때 법적·윤리적 책임을 AI에게 물릴지, AI의 제조사나 사용자가 대신 책임을 져야 하는지에 대해 논란이 분분하다.

고려대학교 법학연구원·지능정보기술연구원·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대법원 사법정책연구원·오픈넷은 16일 고려대 CJ법학관에서 이런 난제를 다루는 '“아시아의 AI: 인공지능과 윤리, 안전, 그리고 사회적 영향' 콘퍼런스를 열었다.

행사에서는 우르스 가서 미국 하버드대 법대 교수, 박경신 고려대 법대 교수, 정재승 한국과학기술원(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 등 연구자들이 자율주행차·로봇·챗봇(메신저의 채팅형 AI) 등 AI 서비스의 윤리적·법적 이슈를 논의했다.

정보기술(IT) 관련 법 전문가인 가서 교수는 이날 개회 연설에서 AI의 빠른 발전 속에서 학계와 사회가 적극적으로 AI의 적용 방향과 규제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연설자로 나선 김진형 지능정보기술연구원(AIRI) 원장은 "AI는 사람을 대체하는 기술로 오인을 받지만 이 기술의 본질은 인간의 능력을 강화해 종전에 못하던 일을 하게 해주는 것"이라며 "AI를 어떻게 쓰는지에 따라 결과가 크게 달라지는 만큼 윤리와 사회적 영향력에 관한 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미국 컬럼비아대에서 AI의 사회적 의의를 연구해온 인류학자 매들린 앨리시 씨는 자동 신용평가 등 AI를 활용한 결정이 사람의 판단보다 공정하고 정확하다고 보는 인식을 깨야 한다고 지적했다.

AI는 대량의 데이터를 학습해 결정을 내리는데, 이 데이터 중 부정확한 자료가 들어가거나 특정 취약 계층을 차별하는 내용이 들어가면 AI의 판단도 편견에 치우치게 된다는 것이다.

앨리시 씨는 "AI를 효율성을 강화하는 도구로만 보지 말고 사회정의나 불평등 타파 같은 목표를 AI에 제시할 필요가 있다"며 "이런 조처를 통해 AI를 통한 판단에 엄격하게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말했다.

고려대 법대의 김기창·박경신 교수는 자율주행차와 로봇에 대해 법적 권리와 의무를 설정하는 방안을 설명했고 정재승 KAIST 교수는 AI가 아시아 각국의 일자리에 미칠 여파를 분석했다.

성균관대 소프트웨어대의 정윤경 교수는 게임 채팅에서의 언어폭력을 막기 위해 게임 업계가 AI를 자동 규제자로 도입하는 방안을 소개했다.

이번 행사의 공동 주최 기관인 고려대 법학연구원의 김제완 원장은 "AI는 인류의 축복이자 재앙이라는 양면성이 있지만, 사회적 영향력이 너무 빨리 커지는 데다 기술적 복잡성이 커 논의가 까다롭다. 사회학·교육학·노동관계학 등 여러 분야의 연구자들이 국경을 넘어 지속해서 지혜를 모을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tae@yna.co.kr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