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연합뉴스 최신기사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가구추계] 독거노인수 3배 '쑥'…미성년자녀 있는 가구 비중 절반 '뚝'

송고시간2017-04-13 12:00

이 뉴스 공유하기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본문 글자 크기 조정

멈추지 않는 '고령화 저출산'…통계청 '장래가구추계 2015∼2045년' 발표

미혼 여성 가구주 크게 늘어…가구주 중위연령도 60대 돌파

[연합뉴스 자료사진]

[연합뉴스 자료사진]

(세종=연합뉴스) 이대희 기자 = 고령화의 여파로 2045년에는 혼자 사는 65세 이상 고령 노인 수가 2015년보다 3배가량 늘 전망이다.

저출산의 영향으로 구성원 중 미성년자녀가 있는 가구 비중도 급격히 감소해 전통적인 가족구조 해체는 멈추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통계청은 이런 내용을 담은 '장래가구추계: 2015∼2045년'을 13일 발표했다.

28년 뒤에는 평균 수명의 연장으로 고령화가 심화해 가구주의 나이가 크게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통계청 제공=연합뉴스]

[통계청 제공=연합뉴스]

2015년은 40∼50대 가구주가 전체의 48.0%로 가장 비율이 높았지만, 2045년에는 60∼70대가 40.1%로 가장 높아질 것으로 추산된다.

2015년 남성 가구주는 40대(18%)가, 여성 가구주는 50대(6.1%)가 가장 많았다. 하지만 2045년 남성 가구주는 70대(13.6%), 여성 가구주는 80대 이상(7.8%)이 가장 많은 연령대가 될 전망이다.

나이순으로 한 줄로 세웠을 때 한가운데에 있는 사람의 나이를 뜻하는 중위연령도 30년 뒤 60대 중반으로 껑충 뛸 것으로 보인다.

가구주 중위연령은 2015년 50.6세에서 2045년 64.0세로 13.4세 높아질 것으로 통계청은 내다봤다.

같은 기간 가구주 성별 중위연령은 남성이 50.3세에서 64.5세로, 여성이 51.6세에서 62.9세로 증가할 것으로 추계했다.

가구주가 65세 이상인 고령자 가구는 2015년 366만4천가구에서 2045년 1천65만3천가구로 2.9배 증가할 전망이다.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19.3%에서 47.7%로 2배 이상 뛸 것으로 예상된다.

2015년에는 고령자 가구는 부부 형태가 가장 많았지만, 2045년에는 혼자 사는 형태가 가장 많아질 전망이다.

부부(33.2%), 1인(32.8%), 부부+자녀(10.0%), 3세대이상(6.3%) 순이었던 고령자 가구 유형은 2045년 1인(34.9%), 부부(29.1%), 부부+자녀(9.2%) 순서로 변화할 것으로 보인다.

[통계청 제공=연합뉴스]

[통계청 제공=연합뉴스]

특히 65세 이상 1인 가구는 2015년 120만3천가구에서 2045년 371만9천가구로 3.1배 늘어날 것으로 통계청은 내다봤다.

28년 뒤에는 여성 가구주도 많이 늘어날 전망이다.

[그래픽] 장래가구추계, 20년 뒤 '혼자사는 집' 서구 선진국 보다 흔해진다
[그래픽] 장래가구추계, 20년 뒤 '혼자사는 집' 서구 선진국 보다 흔해진다

2015년 남자 가구주는 1천342만7천가구로 70.6%를 차지했다. 558만6천가구인 여성 가구주의 2배 이상이었다.

하지만 2045년에는 미혼 가구 증가와 남녀 기대수명 격차로 사별 가구가 늘어나면서 여성 가구주는 1.5배 증가한 852만7천가구가 될 전망이다.

결혼하지 않으려는 세태가 이어지면서 가구주가 결혼한 비율도 크게 감소할 것으로 통계청은 예상했다.

2015년 가구주 혼인 상태는 결혼했다는 의미인 유배우(1천212만2천가구, 63.8%), 미혼(304만9천가구, 16.0%), 사별(212만6천가구, 11.2%), 이혼(171만6천가구, 9.0%) 순으로 많았다.

2045년에는 유배우(49.2%), 미혼(24.9%), 이혼(13.2%), 사별(12.7%) 순으로 변화할 전망이다.

유배우 가구주가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14.6%포인트(p) 감소하지만, 미혼 가구주 비율은 8.9%포인트(p) 늘어날 것으로 통계청은 내다봤다.

성별로 보면 여성 가구주의 경우 미혼이 '대세'가 될 전망이다.

2015년 여성 가구주는 사별(32.4%), 유배우(26.0%), 미혼(23.2%), 이혼(18.4%) 순으로 많았지만, 2045년에는 미혼(28.5%), 유배우(25.5%), 사별(25.2%), 이혼(20.7%) 순이 될 것으로 보인다.

구성원에 미성년자녀를 둔 가구는 점차 감소하고 미성년자녀가 있더라도 그 수가 매우 줄어들 전망이다.

[통계청 제공=연합뉴스]

[통계청 제공=연합뉴스]

미성년자녀가 있는 가구는 2015년 571만8천가구로 30.1%를 차지했다. 자녀 1명 가구는 276만3천가구(14.5%), 자녀 2명 가구는 251만2천가구(13.2%), 3명 이상은 44만3천가구(2.3%)였다.

미성년자녀가 없는 가구는 2045년까지 연평균 21만가구씩 증가하지만, 미성년자가 있는 가구는 9만9천가구씩 감소할 전망이다. 이에 따라 미성년자녀가 있는 가구의 비중은 12.4%로 급감하게 된다.

미성년자녀 2명 이상 가구는 30년 사이 약 1/4인 69만2천가구가 되겠다고 통계청은 예상했다.

부모의 이혼이나 사별로 생기는 한부모 자녀 가구는 소폭 증가할 전망이다.

2015년 전체 한부모 자녀 가구 205만2천가구 중 이혼·사별로 생긴 가구는 131만9천가구였다. 2045년은 1.1배 수준인 143만1천가구로 증가할 전망이다.

고령화로 사별 가구는 늘어나지만, 미성년자녀를 둔 부부의 이혼이 감소하는 추세의 영향이라고 통계청은 분석했다.

이혼·사별에 의한 한부모 가구 중 아버지와 사는 가구의 비중은 23.2%에서 21.2%로 감소하는 반면, 어머니와 사는 가구는 76.9%에서 78.8%로 증가할 전망이다.

통계청 이지연 인구동향과장은 "저출산 고령화가 우리네 가족의 삶을 어떻게 바꾸는지를 보여주는 추계"라며 "저출산은 급격히 강화되고 기대수명은 너무 빨리 늘어 변화를 대비할 만한 시간이 많지 않다"고 분석했다.

2vs2@yna.co.kr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