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연합뉴스 최신기사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내달까지 11만가구 분양…미분양 폭탄될까, 청약 기폭제될까

송고시간2017-05-03 08:49

이 뉴스 공유하기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본문 글자 크기 조정

대선 이후 분양시장 '큰 장'…5월 6만, 6월 5만가구 분양 쏟아져

3월말 미분양 6만여가구, 앞으로 7만가구 넘을 수도…새 정부 정책 '촉각'

(서울=연합뉴스) 서미숙 기자 = 이달 초 긴 연휴를 지나 9일 대선이 끝나고 나면 아파트 분양시장은 크게 요동칠 전망이다.

현재 미분양 아파트 수가 6만가구를 넘어선 가운데 5월 한 달 동안 6만가구, 6월에도 5만여가구에 달하는 신규 분양이 쏟아져 주택시장의 변수로 작용할 것이기 때문이다.

3일 건설업계와 부동산 전문가들은 "이달부터 다음 달까지 아파트 분양시장의 분위기가 올해 분양시장의 향배를 가른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라며 "특히 중도금 대출이 막힌 가운데 10만 가구가 넘는 분양물량이 미분양 폭탄이 될지, 청약 열기를 확산하는 기폭제가 될지 지켜볼 일"이라고 말했다.

올해 월별 분양 실적 및 분양계획 [부동산114 집계=연합뉴스]

올해 월별 분양 실적 및 분양계획 [부동산114 집계=연합뉴스]

◇ 5, 6월 두 달간 11만가구 '분양 폭탄' 떨어진다

부동산114 조사에 따르면 이달에 분양 예정인 전국의 아파트는 올해 월간 최대 물량인 5만9천680여가구로 6만가구에 육박한다.

연초 국정 불안, 조기 대선, 대출 규제 강화 등의 악재로 건설사들이 봄철 신규 분양을 대거 대선 이후로 미루면서 이달에 계획 물량이 한꺼번에 몰린 것이다.

3월 초까지만 해도 4월에 6만여가구를 분양하겠다던 건설사들이 국민적 관심이 대선에 쏠리자 5월 이후로 연기하는 바람에 지난달 실제 분양물량은 3월(3만3천여가구)보다도 적은 2만여가구에 그쳤다.

물론 5월 분양 예정 물량도 모두 실제 계획대로 청약이 이뤄질지는 미지수다. 청약 시장 분위기에 따라 늘어날 수도, 줄어들 수도 있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이 4만5천410가구로 전체 분양물량의 76%가 집중된다. 특히 경기도가 3만3천103가구로 압도적이다.

3천500가구가 넘는 김포시 걸포동 '한강메트로자이'를 비롯해 평택 지제 센토피아 3천798가구, 안산 사동 그랑시티자이2차 2천872가구 등 초대형 단지들이 이달 대거 분양된다.

서울에서는 강동구 상일동 고덕주공 7단지 재건축 '고덕 롯데캐슬 베네루체' 1천859가구 등 재개발·재건축 아파트 7천314가구(조합원분 포함)가 분양된다.

6월 분양 예정물량도 5월 못지않다. 비수기인 7∼8월을 피하기 위해 상반기 안에 분양을 마치려는 건설사들이 몰리며 5만1천여가구가 계획돼 있다.

5∼6월 두 달간 분양물량만 무려 11만가구를 넘는다. 대선 이후 새 정부의 주택정책에 따라 부동산 시장이 어디로 튈지 몰라 서둘러 분양을 마쳐야 한다는 불안감도 작용한 결과다.

한 건설업계 관계자는 "새 정부의 부동산 정책 변화가 모호하고 하반기 이후 수도권의 입주물량도 늘어나기 때문에 인허가 일정만 맞는다면 가급적 6월까지 '밀어내기'식 분양을 하려는 건설사들이 많을 것"이라고 말했다.

5~6월 분양물량이 11만가구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되면서 미분양 우려도 커지고 있다. 사진은 특정 사실과 관계없음. [연합뉴스 자료사진]

5~6월 분양물량이 11만가구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되면서 미분양 우려도 커지고 있다. 사진은 특정 사실과 관계없음. [연합뉴스 자료사진]

◇ 미분양 6만가구 '박스권'…5월 이후 급증할까

5∼6월 두 달 동안 쏟아질 물량이 11만가구가 넘어가면서 건설업계는 기대보다 걱정이 많다. 물량이 늘어난 만큼 미분양 부담이 커질 수 있어서다.

국토교통부 조사에 따르면 3월 말 기준 전국적인 미분양 물량은 6만1천163가구로 6만가구를 넘어섰다. 연초 분양물량이 많지 않았는데도 올해 들어 3개월 연속 증가세다.

4월에는 대선 영향으로 분양물량이 2만가구로 축소돼 미분양 물량도 일시적으로 감소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5∼6월 두 달 동안 10만가구가 넘는 물량공세가 이어질 경우 미분양 증가는 불 보듯 뻔하다.

특히 금융당국이 최근 제2금융권까지 중도금 등 집단대출 규제를 강화하고, 은행들이 금리를 인상하면서 분양시장의 환경이 가히 좋지만은 않다.

11·3대책 이후 청약 규제가 강화되면서 전체적인 청약 경쟁률은 감소했지만 인기 지역에만 돈이 몰리는 '쏠림 현상'은 더욱 심화되는 분위기다.

인기 지역은 초기 '완판'도 가능하지만 그렇지 않은 곳은 장기간 미분양을 떠안고 가야 할 수도 있다.

이 때문에 일부 전문가들은 5월 이후 비인기 지역을 중심으로 미분양 관리에 경고등이 켜질 수 있다고 우려한다.

국토교통부가 '위험 수위'로 판단하는 기준은 전국 미분양 물량이 7만가구를 넘어서는 때다. 현재 미분양과 비교해 아직 1만가구의 여유는 있는 셈이다.

국토부 고위 관계자는 "10년 미분양 장기평균 물량이 7만6천가구 정도인데 현재 6만가구 초반을 왔다갔다하는 박스권 추이를 보이고 있어 (미분양 문제가) 크게 우려할 정도는 아니다"라며 "다만 올해 말까지 미분양이 7만가구를 넘어선다면 공급과잉 충격이 나타났다는 방증이므로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건설업계는 새 정부 출범 후 정부 정책 변화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현재 여론조사 지지율이 높은 유력 대선 후보들은 주택담보인정비율(LTV)과 총부채상환비율(DTI)을 비롯한 대출 규제 완화에 대부분 부정적인 입장이다.

한 건설사 관계자는 "새 정부가 들어서면 중도금 대출에 숨통이 트이지 않겠느냐는 기대감은 있는데 분양물량이 한꺼번에 쏟아질 예정이어서 수요가 공급(대출 은행)을 초과하는 상황이 발생하지 않을까 걱정"이라며 "중도금 대출 규제가 계속될 경우 신규 분양을 중단하거나 연기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또 다른 건설사 관계자는 "주택시장이 위축될 경우 분양시장도 반사이익을 보긴 어렵다"며 "새 정부가 주택시장에 대해 어떤 정책을 펴느냐에 따라 분양결과도 달라질 것"이라고 말했다.

sms@yna.co.kr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