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연합뉴스 최신기사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문헌 부족·임나일본부설로 소외당한 가야사 재조명되나

송고시간2017-06-01 18:34

이 뉴스 공유하기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본문 글자 크기 조정

가야사 연구자들 "장기적 계획 세워 진행해야"

대가야 유적인 고령 지산동 고분군. [연합뉴스 자료사진]

대가야 유적인 고령 지산동 고분군.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박상현 기자 = 문재인 대통령이 1일 가야사 복원을 국정과제에 포함시켜 달라고 주문하면서 한반도 남부에 존속했던 고대국가인 가야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가야는 기원 전후부터 562년까지 낙동강 유역을 중심으로 명맥을 이어온 국가다. 경남 김해에 있었던 금관가야를 비롯해 함안·고성, 경북 고령·성주·상주에 6개의 소국이 있었다.

가야사가 그동안 조명받지 못한 주된 이유는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 가야에 관한 기록이 매우 부족하기 때문이다.

역사적으로 가야에 대한 관심이 커진 시기는 임진왜란 이후다. 조선 중기 문신인 한백겸이 역사지리서인 '동국지리지'에서 가야사를 복원하고자 했고, 정약용 같은 실학자들도 가야사를 연구했다.

그러나 19세기 중반부터 일본이 고대에 한반도 남부를 지배했다는 임나일본부설이 국내에 유입되면서 가야가 일본의 속국이었다는 인식이 퍼졌다.

가야사를 연구해온 학자들은 문 대통령의 가야사 복원 지시를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면서도 이를 서둘러 추진하기보다는 장기적 계획을 세워 차근차근 진행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김태식 홍익대 교수는 "그동안 가야사가 신라사에 밀려 소외돼온 것은 사실"이라며 "학계 연구가 부진하고 국사 교과서에서 차지하는 분량이 적다 보니 일반인들은 가야를 수준 낮은 나라로 취급하는 경향이 있다"고 지적했다.

김 교수는 "학계에서는 고대사를 삼국시대라고 말하지만, 삼국시대는 가야가 멸망한 뒤부터 약 100년간만 존재했다고 봐야 한다"고 덧붙였다.

남재우 창원대 교수는 "가야는 중앙집권화에 성공하지 못했지만, 1970년대부터 낙동강 유역에서 진행된 발굴조사를 통해 뛰어난 문명을 이룩했다는 사실이 드러났다"면서 "가야가 경남, 경북뿐만 아니라 전남과 전북 서부까지 영향을 미쳤다는 것은 고고학적으로 밝혀진 사실"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가야문화권에 속했던 지역에는 관리가 잘되지 않아 훼손될 위기에 처한 고분이 적지 않다"며 "전면적인 조사를 통해 가야 유적을 재확인하고, 이를 바탕으로 연구를 확대해 나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psh59@yna.co.kr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