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연합뉴스 최신기사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병원 실려간 급성심장정지 환자 한해 3만명…4.2%만 일상복귀

송고시간2017-09-26 06:00

이 뉴스 공유하기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본문 글자 크기 조정

뇌 기능 회복률·생존율 지역별로 7%포인트 이상 차이

남자·70세 이상 환자 많고 가정에서 많이 발생

일반인 심폐소생술 시행 비율 2008년 1.9%→2016년 16.8%

[광주 서부소방서 제공=연합뉴스 자료사진]

[광주 서부소방서 제공=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신재우 기자 = 지난해 급성 심장정지로 병원으로 이송된 환자는 3만명이었고, 이중 뇌 기능을 회복해 일상생활로 복귀한 사람은 4.2%에 그쳤다.

급성 심장정지를 당한 후 생존할 확률은 7.6% 정도지만 어느 지역에서 발병했느냐에 따라 생존율 차이가 컸다.

26일 질병관리본부와 소방청이 병원으로 이송된 급성 심장정지 환자 의무기록을 조사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급성 심장정지 환자는 2만9천832명으로 10년 전보다 53.1% 증가했다.

환자 수는 2006년 1만9천480명, 2010년 2만5천909명, 2015년 3만771건으로 증가 추세다. 인구 10만명당 심장정지 발생률은 2006년 39.8명, 2010년 51.9명, 2015년 60.4명, 2016년 58.4명을 기록했다.

급성 심장정지 환자의 '뇌 기능 회복률'은 4.2%로 2006년 0.6%보다 7배 증가했다. 뇌 기능 회복이란 퇴원 시 혼자서 일상생활이 가능할 정도로 기능이 회복된 상태를 말한다.

일상생활로 복귀하지 못했지만 살아서 퇴원한 '생존율'은 작년에 7.6%로 10년 전 2.3%보다 3배 증가했다.

병원 실려간 급성심장정지 환자 한해 3만명…4.2%만 일상복귀 - 1

뇌 기능 회복률과 생존율은 지역 간에 차이가 있었다.

지난해 뇌 기능 회복률이 높은 지역은 세종(9.3%), 울산(6.2%), 서울(6.0%)이었고 낮은 지역은 전남(2.0%), 강원(2.5%), 경북(2.7%)이었다. 최대 차이는 7.3%포인트였다. 지역별 격차는 해가 갈수록 커지는 추세다.

생존율이 높은 지역은 세종(11.9%), 서울(11.4%), 울산(10.9%)이었고, 반대로 낮은 지역은 경북(4.3%), 전남(4.7%), 전북(5.1%)으로 최대 차이는 7.6%포인트였다.

질병관리본부 관계자는 "지역별 인구구조의 차이, 응급의료 접근도, 이송 후 병원 처지의 수준, 환자 개인의 특성 등이 지역별 생존율 차이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설명했다.

환자가 쓰러지는 것을 목격하거나 쓰러진 환자를 발견한 일반인이 심폐소생술을 시행한 비율은 2008년 1.9%에서 작년 16.8%로 늘었다.

일반인이 심폐소생술을 했을 때 환자가 생존할 확률은 2008년에는 8.9%였으나 작년에는 15.5%로 증가했다.

환자 중 남자의 비율은 65%가량으로 여자보다 2배 많고, 지난 3년간 통계를 보면 70세 이상 어르신이 전체 환자의 반을 차지했다.

급성 심장정지가 발생하는 주원인은 질병으로 심근경색, 심부전, 부정맥 등 심장의 기능 부전이 큰 영향을 미쳤다.

환자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장소는 가정으로 전체 발생의 50∼60%를 차지했고, 그 외 도로·고속도로 8∼10%, 요양기관 5∼7%, 구급차 안 4∼6% 순이었다

심폐소생술 경연대회 [연합뉴스 자료사진]
심폐소생술 경연대회 [연합뉴스 자료사진]

withwit@yna.co.kr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