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연합뉴스 최신기사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문 대통령 '3·1절 메시지' 구상…'평창 이후' 대외구상 주목

송고시간2018-02-27 11:51

이 뉴스 공유하기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본문 글자 크기 조정

"차분하게 준비하라" 주문…한일관계 기존 원칙 재확인할 듯

미래지향적 한일관계 고려한 강약 조절 관건…한반도 정세 운용방향도 관심

아베 日 총리, 문재인 대통령과 정상회담
아베 日 총리, 문재인 대통령과 정상회담

epa06507750 South Korean President Moon Jae-in (R) shakes hands with Japanese Prime Minister Shinzo Abe (L) during their meeting in PyeongChang, South Korea, 09 February 2018. EPA/KIM HONG-JI / POOL

(서울=연합뉴스) 박경준 기자 = 3·1절을 이틀 앞두고 문재인 대통령이 한일관계를 비롯한 한반도 정세 운용과 관련해 어떤 메시지를 내놓을지 관심이 쏠린다.

3·1절은 광복절과 함께 현직 대통령이 동북아와 한반도 평화와 안정, 그리고 주변국들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의미있는 메시지를 내놓는 자리로 인식됐다는 점에서 '평창 외교전'을 거치면서 형성된 문 대통령의 대외 구상이 주목된다.

일단 평창동계올림픽을 계기로 남북간 해빙무드가 빠르게 조성되고 있는 것과 맞물려 문 대통령이 한반도 현안을 풀어내기 위한 '중대 메시지'를 내놓을 가능성에 촉각이 곤두세워지고 있다.

그러나 청와대 내부의 기류로 보면 3·1절이라는 본래의 의미에 맞춰 한일관계를 키워드로 한 발언들이 연설문의 주축을 이룰 것으로 보인다.

문 대통령은 최근 3·1절 메시지를 논의하는 과정에서 참모들에게 "차분하게 준비하라"는 지시를 내린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 관계자는 27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국정과 관련한 자신의 구상을 꼭 밝혀야 한다고 생각하면 기회가 있을 때마다 비중 있게 제시한 상황에서 꼭 3·1절에 '메가톤급 메시지'를 내놓지 않아도 된다는 생각인 것 같다"고 말했다.

이 때문에 3·1절 메시지로 내놓을 만한 주제인 남북 평화, 한일 문제 등과 관련해서는 새로운 내용보다는 기존의 원칙을 재확인하는 '로우키'로 자기 생각을 밝힐 가능성이 유력하게 점쳐진다.

문 대통령은 이 가운데에서도 특히 한일관계에 더 큰 방점을 찍을 것으로 알려졌다.

남북대화 분위기에 드라이브를 걸면서 북미대화를 주선하고 이 과정에서 사실상 중국의 동의를 끌어내는 등 소기의 성과를 거두는 동안 이웃인 일본과의 소통은 '제로'에 가까웠기 때문이다.

한일관계는 지난달 우리 정부가 '12·28 한일 위안부 합의'의 이행을 사실상 거부하는 태도를 비친 뒤로 급속도로 냉각됐다는 평가를 받는다.

강경화 외교부 장관은 당시 합의 파기 또는 재협상을 요구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한 동시에 해당 합의를 문제의 진정한 해결로 볼 수 없다는 태도를 보여서 일본 측이 강하게 반발한 바 있다.

문 대통령도 신년 기자회견에서 "위안부 합의가 공식 합의라는 것은 부인하지 못한다"면서도 "잘못된 매듭을 풀어야 한다"는 말로 '한일 위안부 합의'를 그대로 받아들일 수 없다는 뜻을 분명히 밝혔다.

이때 일본 정부가 '위안부 합의는 최종·불가역적'이라며 '1㎜도 움직일 수 없다'고 반응한 것을 고려하면 우리 정부의 입장만을 강조하는 강경한 메시지를 내놓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된다.

남북과 미국, 중국이 한반도 평화 정착과 관련한 의사 결정을 주도한다는 이른바 '일본 패싱' 우려가 나오긴 해도 한반도 긴장을 완화하는 데 일본의 조력이 없다면 어려움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결국 관건은 문 대통령이 어느 정도로 수위를 조절해 한일관계와 관련한 메시지를 내놓을지다.

'한일 위안부' 문제는 양국 간 현안의 핵심인 만큼 빼놓고 갈 수는 없겠지만 기존 입장을 재확인하는 선에서 수위와 강도를 조절할 것이라는 분석이 설득력을 얻는다.

이와 함께 과거사 이슈와 안보협력을 분리해 한일관계를 미래지향적으로 끌고 가겠다는 문 대통령의 구상을 다시 강조함으로써 관계 개선의 여지를 남겨두지 않겠느냐는 관측도 있다.

문 대통령은 지난 9일 올림픽 개회식 참석차 방한한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와의 정상회담에서 "위안부 문제는 피해자들의 명예와 존엄을 회복하고 그 분들의 상처가 아물 때 해결될 수 있다"고 말해 아베 총리와 충돌한 바 있다.

이때의 강대강 기조가 3·1절에도 이어진다면 한일관계 개선은 더욱 요원해질 가능성이 큰 탓에 문 대통령도 이런 점을 고려하지 않겠느냐는 것이다.

kjpark@yna.co.kr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